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2;13(8):709-718.
Published online August 1, 199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mily function among shift-workers.
Sung Ho Hong, Je Myoung Chae, Hong Chi Kim, Myo Kyoung Choi, Choo Yon Cho, Tak Seung Nam
교대근무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및 가족기능에 대한 조사연구
홍성호, 채제명, 김홍치, 최묘경, 조주연, 남택승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This study is how shiftworks among the socioeconomic factors is influenced on family function.

Methods : We have selected 237 shiftworkers group and 248 non-shiftworkers group in the industry and evaluated their family function by Olson's FACESⅢ.

Results : We compared the family function of shiftworkers with that of non-shiftworkers and then the results were below. In FACESⅢ cohesion of shiftworkers there were 59(24.8%) family in disengaged group and 80(33.7%) in separated and 62(26.1%) in connected and 36(15.1%) in enmeshed. In that of non-shiftworkers 52(20.9%) in disengaged and 70(28.2%) in separated and 73(29.4%) in connected and 53(21.4%) in enmeshed. In FACESⅢ adaptability of shiftworkers, there were 71(29.9%) family in rigid and 82(34.5%) in structured and 60(25.3%) in flexible and 24(10.1%) in chaotic. In that of non-shiftworkers 64(25.8%) in rigid and 84 (33.8%) instructured 65(26.2%) in flexible and 35(14.1%) in FACES III family types of shiftworkers there were 88(37.1%) family in balanced and 108(45.5%) in midrange and 41(17.2%) in extreme. In that of non-shiftworkers 88(35.4%) family in balanced and 116(46.7%) in midrange and 44(17.7%) in extreme.

Conclusion : In this resuls we found it ou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at in shiftworkers there were more prevalent in disengaged and rigid family than that of non-shifftworkers and in non-shiftworkers there were more prevalent in enmeshed and chaotic family. In family typ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groupes
초록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사회 경제적인 요인들 중 교대근무가 가족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 1992년 3월 9일부터 1992년 4월 30일까지 공단지역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교대근무를 하는 237가족과 교대근무를 하지 않은 248가족을 선정하여 올슨(Olson)의 가족적응력결속력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두군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가족의 결속력은 교대군에서는 이탈된 가족이 61(25.7%), 분리된 가족이 80(33.6%), 연결된 가족이 62(26.1%), 밀착된 가족이 34(14.3%)이었고, 교대군무를 하지 않은 군에서는 이탈된 가족이 49(19.8%), 분리된 가족이 70(28.2%), 연결된 가족이 73(29.4%), 밀착된 가족이 56(22.6%)이었다. 가족의 적응력은 교대군에서는 경직된 가족이 73(30.8%), 구조화된 가족이 82(34.5%), 유연한 가족이 60(25.4%), 혼란된 가족이 22(9.3%)이었고,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군에서는 경직된 가족이 61(24.6%), 구조화된 가족 84(33.9%), 유연한 가족이 65(26.2%), 혼란된 가족이 38(15.3%)이었다. 가족유형에서 보면 교대군에서는 조화형의 가족이 88(37.1%), 중간형의 가족이 108(45.5%), 극단형의 가족은 41(17.2%)이었으며,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군에서는 조화형의 가족이 88(35.4%), 중간형의 가족이 116(46.7%), 극단형의 가족이 44(17.7%)이었다.

결론 : 교대근무를 하는 가족군에서는 이탈형과 경직형의 가족이 많았고, 교대근무를 하지 않은 가족군에서는 밀착형과 혼란형의 가족이 많았으며, 가족유형에는 교대근무를 하는 가족군과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가족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