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2;13(8):703-708.
Published online August 1, 1992.
A clinical survey of Tsutsugamushi disease that occured in the autum of 1991.
Yoo Han Lee, Uj Sang Han, Kyung Suk Lee, Heung Sik Kim, In Ja Hur, Jong Ho Sir
쭈쭈가무시병 17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요한, 김흥식, 한욱상, 이경숙, 허인자, 서종호
대전성심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Tsutsugamushi disease is an acute febrile systemic disease caused by Rickets tsutsugamushi and is characterized by fever, headache, skin rash and eschar. It is known as an endemic disease of Japan but is also found in South-eastern Asia and South Pacific Islands. Attention to tsutsugamushi is increasing as it has recently been known that tsutsugamushi disease is on the epidemic febrile disease in Korea that accounts for about 30% of acute febrile diseases, occurring in late fall, in one report.
We analyzed 17, clinically and serologically confirmed, tsutsugamushi disease cases occurring during the period of October-November, 1991.
Of 17 cases, 10 were males, and 7 were females and age distribution was from twenties to eighties, Nearly all patients has had chances of exposure to grass fields or scrubs and mostly farmers.
The main symptoms and signs were fever, chill(100%), headache(94%), myalgia(88%), skin rash(76%), crust(71%), cough(65%), anorexia(61%), sore throat(61%).
Serologically, 14 cases(82%) were confirmed by indirect immunofluorecent antibody test.
Common laboratory findings were elevated GOT/GPT(82%), alkaline phosphatase(41%), and hematuria(59%), proteinuria(47%).
On chest film, both lung field infiltration, mostly reticulonodular interstitial pattern, were seen in 5 patients(30%).
All the patients showed mild clinical course that the mean duration of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was 4.2 days with doxycycline oral therapy.
One patient who has had diabetes history was complicated by acute pyelonephritis and pleural effusion and had severely ill clinical course.
초록
연구배경 : 1986년 이후 전국적으로 많은 환자가 보고되는 쭈쭈가무시병은 매개충인 진드기(Leptotrombidium)에 물리기 쉬운 환경에 살고있는 사람들, 즉 농부, 군인,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우발적으로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방법 : 본 연구는 1991년 가을 대전시 유성구 및 인접 농촌에서 집단적으로 발병했던 급성열성질환자중 임상적 및 혈청학적으로 쭈쭈가무시병이 확인된 17예를 대상으로 그 역학적 특징, 임상 양상, 신체소견, 검사소견, 치료후의 반응 및 예후에 대해 결과를 분석 보고한 것이다.

결과 : 발병시기는 주로 10월 초에서 11월 초 사이이며, 20대에서 80대에 걸쳐 남자 10명, 여자 7명에게 발병되어, 발병후 평균 5.6일에 입원, 투약시작후 2일이내에 발열소실, 4.2일 내에 증상의 소실을 경험하였다. 환자중 농부나 기타 오염된 환경의 노출 기왕력이 14예에서 확인되었다. 임상증상은 발열 및 오한이 전례에서 나타났고, 두통, 근육통, 피부발진, 기침, 식용부진, 인후통, 가피, 결막충혈, 혈뇨, 전신부종, 오심구토, 복통, 관절통, 간비장종대등의 빈도순으로 관찰되었다. 신체소견상 가피가 12예(71%)에서 보였다. 검사소견상 간접면역 형광항체법으로 17예중 14예에서 양성으로 나와 82%의 양성률을 보였다. 흉부 X-선 검사상 6예(35%)에서 간질성 폐렴 내지 흉막삼출 소견이 나타났다. 혈액검사상 Transaminase증가(82%), LDH의 증가(65%)를 보였고, 단백뇨 및 혈뇨가 10예(65%)에서 나타났다. 모든 예에서 항생제 치료후 완치되었으며, 그중 1예는 당뇨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로, 늑막삼출 및 급성 신우염이 병발하는 중한 양상을 보였다.

결론 : 주로 논, 밭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늦가을에 급성, 열성질환을 호소할 경우 임상적 및 혈청학적으로 쭈쭈가무시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