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5;16(4):239-245.
Published online April 1, 1995.
The Depression in the Obese.
Hye Soon Park, Ju Sang Jo, Dug Nim Han
비만환자에서의 우울성향
박혜순, 조주상, 한덕임
혜민병원 가정의학과 신경외과
Abstract
Background
: Obesity has been considered as a significant health problem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several metabolic diseases, low self esteem and variable psychological problems which include anxiety, Depression and conversion reaction. The authors tried to observe the degree of depression in obese patients for better management of them.

Methods : Obese group was selected among the first visitor at Family Medicine department of Asan Medical Center and Sports Medicine Center. The criteria of obese group was over 120 percent to ideal body weight(n=93). The control group was the body weight under 110 percent to ideal body weight(n=177). The subjects who had psychologic disease and took the medication related to the depression and anxiety were excluded. Using Korean standard BDI, we evaluated to depression scale. The cut-off points of the depression were determined as 10,13, 17, and 21 points.

Results : The number of the subject of obese group was 93(male : 49 ; female : 44)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177(male : 100 ; female : 77). In the male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scale between both groups. In female subjects, the mean BDI score, 18.2±7.4 in the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score, 7.5±6.5 in the control group(P<0.05). The frequencies of depression at each cut-off points(10, 13, 17 and 2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cases of all and female subjects(P<0.05). The frequencies of derpession in the each cut-off point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case of male subjects(P>0.05).

Conclusion : Since the female obese group had the high depression scale, the multi-disciplenary approaches which include the psychological supports are required to manage and treat them.
초록
연구배경 : 비만은 여러가지 대사질환을 동반할 수 있고 심리적으로 개인을 위축시킬 수 있어 중요한 건강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불안이나 우울 등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전환반응 등 여러가지 심리적 장애를 동반하기도 한다. 이에 비만 환자에서의 우울성향을 알아보고 비만의 관리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1993년 3월부터 1993년 9월까지 서울중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와 운동의학센터를 방문한 초진환자 중 비만도가 표준체중의 120% 이상을 보이는 93명을 조사군으로 하였다. 이와 대조군으로 가정의학과 외래와 건진센터를 방문한 환자 중 비만도가 110% 이하를 보이는 177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이미 신경정신질환이 있다든지 항우울제 등을 복용하는 사람을 제외시켰고 이들에게 우울척도를 평가하는 한국판표준화 BDI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는데 BDI의 CUT-OFF 점수는 10,13,17, 21점으로 나누어 보았다.

결과 : 대상 환자는 비만군이 남자 49명, 여자 44명, 대조군이 남자 100명, 여자 77명이었다. 비만군 남녀의 평균연령은 각각 41세였고 대조군 남녀의 평균연령은 각각 38세와 40세였다. 전체 비만군과 대조군 각각의 BDI에서의 평균점수는 13.7점과 8.4점으로 우울 성향의 정도가 비만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P<0.05), 우울성향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10, 13, 17, 21점 각각의 모든 CUT-OFF 점수상에서 우울성향의 빈도가 비만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우울성향의 정도를 성별로 구분한 결과, 남자에서는 비만군과 대조군 각각의 BDI 평균점수가 9.7점, 91,점으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0, 13, 17, 21점 각각의 CUT-OFF 점수상에서도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여자 비만군과 대조군 각각의 BDI평균점수가 18.2점과 7.5점으로 우울성향의 정도가 비만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10, 13, 17, 21점 각각의 모든 CUT-OFF 점수상에서 우울성향의 빈도가 비만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 여자 비만 환자에서 우울성향이 높으므로 비만을 치료하고 관리함에 있어 이러한 면을 고려하여 심리적인 지지요법과 함께 다각적인 치료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