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5;16(11):803-811.
Published online November 1, 1995.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ore for family's coping with chronic illness in korea.
Bong Bu Youn, Tae Soo Kim, Dong Hwan Lee, Yo Sup Chang
우리나라에서 만성 질병에 대한 가족 대응 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윤방부, 김태수, 이동환, 장요섭
Abstract
Background
: Thomas L Campbell proposed a scoring method to assess families with chronic illness to easily. This scoring system relies on a questionnaire composed of 7 questions and depending on the results divides the families into three categories ; families coping very well, families that require support of a family physician and families that require family therapy consult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uch a scoring system to accurately assess families with chronic illness and be of help management in Korea.

Methods : Coping scores and APGAR scores were taken 137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ho were admitted to hospital between March and May in 1994. Statistical reliability testing was performed with Cronbach's alpha in SPSS/PC+ 4.0 and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total coping score and individual items scores to find any correlation. Two technique were incorporated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scoring, first,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families with chronic illness and points given from 1 to 5 for families with increasing levels of coping to the illness, an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ping score for correlation, second, APGAR scores were compared with the coping score for correlation. SAS was need to determine correlation.

Results : Patients studied were 90 male and 47 female and ages ranged from 17 years to 83 years with a mean of 48.7±16.1 years. The mean of the APGAR scores was 6.75±2.58 with 91 families with scores 7 points or over, 28 families between points 4 and 6, and 18 families with 3 points or less. The coping scores mean was 10.37±2.87 with 74 families with scoress 11 points or over, 55 families between points 5 and 10, and 8 families with 4 points or less.
Cronbacch's alpha was 0.6438 and with a score over 0.6, the coping score is found to have reliability.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otal score and individual items' scores.(P<0.0001) The R coefficiency between the coping score and the interview score was determined to be 0.5697 also showing correlation.(P<0.0001) The R coefficiency between the coping score and the interview score was determined to be 0.5697 also showing correlation.(P<0.0001) The R coefficiency between the coping score and APGAR score was 0.6410 again showing correlation (P<0.0001) and demonstrating the validity of the coping score.

Conclusion : The score of family's coping with chronic illness shows reliability and validity, as the results of this syudy. The scoring system can be used as a basic screening tool to determine how well a family is coping with chronic illness and as a basic guideline of family therapy in Korea.
초록
연구배경 : Thomas, L. Campbell은 만성 질병 환자 가족의 대응 정도를 쉽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만성 질병의 가족 대응 지수(The Score for Family's Coping with Chronic Illness)를 제시하였다. 이 척도는 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으로 점수에 따라서 잘 대응하는 가족, 가정의의 개입이 필요한 가족, 가족 치료를 위해 의뢰가 필요한 가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만성 질병의 가족 대응 지수를 우리나라 현실에서 시행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여 만성 질병 환자 가족의 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1994년 3월부터 5월까지 2차 병원 이상에 만성 질병으로 입원하고 있는 137명의 환자 및 가족들을 대상으로 만성 질병의 가족 대응 지수, 가족 기능 지수(APGAR scores)를 조사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첫번째 방법으로 SPSS/PC+4.0의 Cronbach's α를 이용하였고, 두번째로 가족 대응 지수의 총점과 하부 항목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만성질병 환자의 가족들이 얼마나 잘 대응하는 지를 직접적으로 질문하여 대응 정도에 따라 1점부터 5점까지 다섯 단계로 평가한 점수와 가족 대응 지수 총점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타당도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고, 상관관계의 분석은 SAS를 이용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 90명(65.7%), 여자 47명(34.3%)이었고, 연령 분포상 평균연령은 48.7±16.1세이고 최소 17세에서 최대 83세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가족 기능지수는 평균 6.75±2.58이고 7점 이상이 91가족(66.4%)으로 가장 많고, 4점에서 6점 사이가 28가족(20.4%)이었으며, 3점 이하가 18가족(13.2%)이었다. 만성 질병의 가족 대응 지수는 평균 10.37±2.87점이고 11점 이상이 74가족(54.0%)으로 가장 많고, 5점 이상 10점 이하가 55가족(40.2%)이었고, 4점 이하는 8가족(5.8%)이었다.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0.6438로 높은 내부 일치도를 보여 주었고, 총점과 하부 척도 7가지 문항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며(P<0.0001), 가족 대응 지수의 총점과 직접 질문을 통하여 구한 대응에 대한 평가 점수와의 상관관계도 r=0.5697(P<0.0001)로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가족 대응 지수와 가족 기능 지수와의 상관관계도 r=0.6410 (P<0.0001)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대응 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만성 질병의 가족 대응 지수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므로서 우리나라에서도 가족이 만성 질병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를 평가하는 기초 검색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족 치료 전의 기본 지침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