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6;17(9):784-797.
Published online September 1, 1996.
Regional Fat Distribution as a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yung Ho Hong, Young Mi Lee, Yoon Sun Choi, Soon Deok Kim
비만의 유형과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와의 관련성
홍명호, 이영미, 최윤선, 김순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 교실, 예방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Obesity itself is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but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regional fat distribution rather than obesity itself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obesity and increased waist-hip ratio to other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s(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in 382 subjects(make 197, female 185) who visited a periodic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a tertiary hospital from Aug 1th to 31th of the year of 1995. Subjects were checked sex, age, height, weight,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Overall obe-sity was measured by BMI(body mass index) and abdominal obesity evaluated by waist-to-hip ratio (WHR) and Conicity index.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BMI(<25.0≥25.0) and WHR(male<0.91, ≥0.91/female<0.85, ≥0.85)

Results : Higher mean value of total cholesterol was found in abdominal obesity and normal weight with increased WHR than groups with normal WHR in male. In female, the mean value triglycerides in normal or underweight with increased WH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rmal higher and than of HDL-cholesterol was lower than gluteofemoral type obesity. Conicity index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WHR in both sexe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merged between Conicity index and age, sy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merge between Conicity index and HDL-cholesterol in male. In femal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ed between Conicity index and age,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DL-cholesterol.

Conclusion : Obesity and increased WHR is associated with rick fa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d WHR and Conicity index is useful in measuring abdominal obesity. So, the author suggest incorpo-rtate measurement of BMI and WHR, Conicity index into the routine. examinations of obese patients to enhance the evaluation of health risk.
초록
연구배경 : 전체 체지방량의 증가로 정의되는 비만은 그 자체로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이며 지방의 국소 국포는 비만과는 독립적인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비만과 증가된 복부둘레가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와 관련되며, 지방의 국소분포의 평가도구로서 복부-둔부 둘레비 및 Conicity index가 유용함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5년 8월 1개월간 모 3차 병원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남자 197명, 여자 185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와 국소지방의 분포 지표로서 복부-둔부 둘레비, Conicity index를 측정하고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로서 혈압, 공복시 혈당, 혈청지질 및 지단백을 측정하여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체질량지수 25.0과 복부-둔부 둘레비 0.91(남자), 0.85(여자)를 기준으로 4군으로 분류하여 혈압, 공복시 혈당, 혈청지질 및 지단백과의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평균값의 비교는 t-test를 이용하였고 연령보정은 공분산 분석을, 상관분석은 Pear-son 방법을 이용하였다. 모든 변수간의 관련성에 대한 통계적 검증의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으며, 통계분석은 PC-SAS(6.04)를 이용하였다.

결과 : 체질량지수와 복부-둔부 둘레비에 따라 4군으로 분류하여 혈압, 공복시 혈당 혈청지질 및 지단백을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복부비만군이 하부비만군보다 총콜레스테롤이 높았고, 정상 및 저체중군에서도 복부-둔부 둘레비가 증가되어 있는 군은 정상인 군보다 총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의 경우, 연령을 보정하였을 때, 복부 비만군이 하부 비만군보다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민도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상 및 저체중군에서도 복부-둔부 둘레비가 증가되어 있는 군은 정상인 군보다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높았다. 국소지방분포의 새로운 지표로서 사용되었던 Conicity index는 남, 녀 모두에게 체질량지수, 복부-둔부 둘레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남자에서 연령, 수축기 혈압, 공복시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콜레스테롤과 여자에게서는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공복시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비만군 뿐아니라 정상 및 저체중군에서도 복부-둔부 둘레비가 증가되어 잇는 경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비만의 평가 및 관리에 있어 체질량지수와 더불어 복부-둔부 둘레비 및 Conicity index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