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6;27(4):294-301.
Published online April 10,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Loss Maintenance.
Young Nam Kim, Keun Mi Lee, Seung Pil Ju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kmlee@med.yu.ac.kr
체중감량 후 유지와 관련된 요인들
김영남,이근미,정승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In general, long-term weight loss maintenance is difficult. Thus we have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loss maintenance after weight reduction to appropriate level in obese people.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170 obese adults who visited the Yeung 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Obesity Clinic from January 2002 to April 2004. Selected individuals for this study were those who have intentionally lost at least 5% of their body weight and have kept it off for at least 1 year and considered to be ; weight loss maintainers ; and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weight loss maintenance were obsened and assessed by telephone survey.

Results : Among all study subjects, the successful weight loss maintainers were 61 (35.9%) subjects (males: 23, females: 38) and re-gainers were 109 (64.1%) subjects (males: 42, females: 67). The difference between maintainers and re-gainers according to sex, age and basal body weigh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 between maintainers and retain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ose with regular exercise more than 3 times per week (P=0.001), no alcohol intake (P= 0.001), physical activity more than moderate level (P<0.001), TV viewing (internet using) times less than 2 hours (P<0.001), dietary control (P<0.001), and no overeating (P<0.001).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besity treatment medication use during the weight loss maintenance period had the greatest influence (R2=0.336, P=0.000), and the following were TV (internet) viewing time, smoking,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in order.

Conclusion : By using, medications, reducing TV viewing (internet using) times, smoking cessation, diet control exercise weight loss were maintained significantly.
Key Words: weight loss, weight loss maintenance, obesity
초록
연구배경 : 비만한 사람들이 체중감량 후 이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비만한 사람들이 체중감량 후 성공적인 체중유지와 관련되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대구시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사람들 중 5% 이상의 체중감량에 성공했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키, 성별, 나이, BMI, 체중감량(kg, %), 체중감량 기간, 체중감량을 위해 사용한 방법, 음주, 흡연, 운동량, 신체활동량, TV 시청(인터넷 사용) 시간, 그리고 식이 조절과 폭식 등 체중감량 유지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 전체 연구 대상자 170명 중 6개월 이상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였던 유지군은 35.9%로 61명(남성: 23명, 여성: 38명)이었으며 체중이 다시 증가한 비유지군은 64.1%로 109명(남성: 42명, 여성: 67명)이었다. 체중감량 유지군과 비유지군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성별과 나이 그리고 기초체중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유지군에서 체중감량기 동안 체중의 감량 정도도 많았으며, 유지기 동안에 비만 치료 약제사용도 더 많았다(P<0.001). 체중 감량 후 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의 다중 회귀분석 결과, 체중감량 유지기 동안 비만 치료 약제사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R2=0.336, P=0.000) 다음으로 TV 시청(인터넷 사용) 시간, 식이조절, 운동 순이었다. 남녀 각각 분석해 보았을 때, 여성에서는 비만 치료 약제사용, TV 시청(인터넷 사용) 시간, 음주, 운동, 신체활동 등이 체중감량 유지의 52.2%를 설명할 수 있었고, 남성에서는 비만 치료 약제사용, 식이조절, 폭식 등이 체중감량 유지의 52.8%를 설명할 수 있었다.

결론 : 장기적인 체중감량의 유지를 위해서는 비만치료약제의 사용, TV 시청 및 인터넷 사용시간 감소, 금주, 적절한 식이조절 및 운동이 필요하다.
중심 단어: 체중감량, 체중감량유지, 비만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