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6;27(3):182-189.
Published online March 10, 2006.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Metabolism Impairment.
Mi Hee Kong, Hyun Kook Choi, An Jin Jung, Byeong Hun Ahn, Bom Taeck Kim, Kwang Mi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Ajou University, Suwon, Korea. gaksi@ajou.ac.kr
당 대사 장애 정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이환 정도
공미희,최현국,정안진,안병훈,김범택,김광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The metabolic syndrome is a cluster of relate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it is the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cardiovascular diseases. Recently, new diagnostic criteria of glucose metabolism impairment has been recomme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difference of cardiovascular risk by investigating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metabolism impairment.

Methods : A population of 757 subjects was selected from a database of individual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We classified these subjects into 5 groups [Normal, Isolate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IGT), Isolated impaired fasting glucose (I-IFG), combined IGT with IFG (IGT/IFG) and Diabetes]. We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se groups.

Results : HOMA-IR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IGT/IFG and the Diabetes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Normal group. HOMA-IR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of the I-IGT and the I-IFG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Normal group.

Conclusion : The insulin resistance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IGT/IFG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Normal group, and its presence may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trol other combined metabolic disorders to prevent cardiovascular events after effective selection for IGT/ IFG.
Key Words: glucose metabolism impairment, metabolic syndrome,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disease
초록
연구배경 : 대사증후군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들을 포괄하는 군집개념이며, 심혈관 질환의 이환 및 사망의 원인이다. 최근 심혈관 위험요인 중 하나인 당 대사 장애의 분류가 새로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제시된 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당 대사 장애 정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이환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심혈관 질환의 위험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해 방문한 사람을 대상으로 최종 757명을 선발하여 이들의 당 대사 장애 정도에 따라 정상군, 순수내당능장애군, 순수공복혈당장애군, 혼합혈당장애군, 당뇨군으로 총 다섯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 다섯 그룹에 대한 일반적 특징 및 공복인슐린과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 IR) 그리고 대사증후군 항목의 이환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혼합혈당장애군(HOMA-IR: 2.3±1.5, 대사증후군 이환 항목수: 1.91±1.13)과 당뇨군(HOMA-IR: 2.7±2.0, 대사증후군 이환 항목수: 2.11±1.07)이 정상군(HOMA-IR: 1.6±0.7, 대사증후군 이환 항목수: 1.35±1.08)보다 HOMA- IR과 대사증후군 이환 항목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순수내당능장애군(HOMA-IR: 1.7±0.8, 대사증후군 이환 항목수: 1.43±1.06)과 순수공복혈당장애군(HOMA-IR: 1.9±1.0, 대사증후군 이환 항목수: 1.51±1.11)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HOMA-IR과 대사증후군 이환 항목수의 차이가 없었다. 정상군과 비교하여 공복혈당장애군이 대사증후군에 이환될 교차곱비(Odds ratio)는 4.45 (95% CI: 2.41∼8.21), 혼합혈당장애군은 7.44 (95% CI: 4.00∼13.83), 당뇨군은 9.69 (95% CI: 5.47∼17.16)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 공복혈당장애군과 혼합혈당장애군 그리고 당뇨군의 경우 유의하게 대사증후군에 이환될 교차곱비가 증가되어 있었다. 특히 혼합혈당장애군과 당뇨군의 경우는 유의한 인슐린 저항성증가와 높은 대사증후군 이환 정도를 보여 다른 군에 비해 심혈관 위험이 높은 군으로 보인다.
중심 단어: 당 대사 장애, 대사증후군,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