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9):827-832.
Published online September 10, 2003.
Association of Body Fat and Body Mass Index with Pulmonary Function in Women in Their Forties.
Sung Ryul Kim, Un Suk Choi, Ji Ho Choi, Hee Jeong Koh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ha University Hospital, Korea. khj@inha.ac.kr
40대 여성에서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가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성열,최운석,최지호,고희정
인하대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Obesity and decreased pulmonary function increase mortality and morbidity of diseases. Obesity is a major factor of decreased pulmonary function. There are variable results of how much body mass index (BMI) and body fat percent influence pulmonary function. There arefew data between obesity and pulmonary function in Korea. This study observed the association of BMI, body fat percent and pulmonary function, and quantified the impact of obesity to pulmonary function.

Methods : 603, non-smoking women in their forbles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Inh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3, 2000 to December 31 2000. Questions concerning smoking, exercise, and past medical history were made. Body fat percent and pulmonary function were measured. Correlation, simpl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between obesity indices and pulmonary function were used executed.

Results : BMI has no correlation with FVC, FEV1 and FEV1/FVC ratio. Body fat perc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VC and FEV1 (r=-0.162; P<0.01, r= -0.195; P<0.01), and was not correlated with FEV1/FVC ratio. In a multiple linar regression, body fat percent was inversely related to FVC and FEV1 (β=-10.380; P<0.01, β=-11.379; P<0.01).

Conclusion : Increased body fat percent has association with decreased pulmonary function and has more impact on FEV1 than FVC. FVC was decreased by 10.380 mL and FEV1 was decreased by 11.379 mL when body fat percent increased by 1%.
Key Words: obesity, body fat percent, body mass index, pulmonary function
초록
연구배경 : 비만과 폐기능의 저하는 질병의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킨다. 비만은 폐기능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비만의 지표로 사용하는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이 폐기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는 연구마다 조금씩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비만과 폐기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비만지표로서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량화시켜 보았다.

방법 : 2000년 1월 3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인하대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40대 비흡연 여성 603명을 대상으로 건강설문지를 사용하여 흡연여부, 운동여부, 과거병력을 알아보았다. 체지방측정계를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측정했으며, 폐기능 분석기를 이용하여 폐기능을 측정하였다. 변수들과 폐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체질량지수는 노력성 폐활량(FVC),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 및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노력성 폐활량의 비(FEV1/FVC)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체지방률은 FVC와는 음의 상관관계(r=-0.162; P<0.01), FEV1과는 음의 상관관계(r=-0.195; P<0.01)가 있었고, FEV1/FVC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폐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한 다중회귀분석에서도 체지방률은 FVC, FEV1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β= -10.380; P<0.01, β= -11.379; P<0.01).

결론 : 체지방률의 증가는 폐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었으며, FVC보다는 FEV1에 더 영향을 미쳤다. 폐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체지방률이 1% 증가하면 FVC는 10.380 mL, FEV1은 11.379 mL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 단어: 비만,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폐기능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