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10):1520-1530.
Published online October 1,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grip strength and radial BMD in middle aged men.
Young Ah Choi, In Suk Park, Moon Jong Kim, Kyung Gin Kim, Young Gon Kang, Ho Taek Lee, Young Jin Lee, Chul Young Bae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ndang CHA Genera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2Pochun Chung-Moon University Sporex health screening center.
중년 남성에서 요골 골밀도와 악력과의 관련성
최영아, 박인숙, 김문종, 김경진, 강영곤, 이호택, 이영진, 배철영
1
2
Abstract
Background
: Although it has become obvious that male osteoporosis represent a public health issue, few studies has been done in Korea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bone mineral density(BMD) in me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nforce the necessity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to improve BMD in middle-aged men by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BMD.

Methods :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anuary to December 1998 in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CHA hospital with 174 men who measured both BMD and grip strength. BMD was measured at the proximal and distal radius of the dominant hand using Osteoplan p-DXA and grip strength was measured from the dominant hand using dynamometer. Daily calcium intake was measur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diet therapist. Other datas wer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Results : W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BMD of distal and proximal radius(r=0.208; P<0.01, r=0.2555;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BMD of distal and proximal radius(r=-0.313; P<0.01,r=-0.190;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alcium intake and BMD. BMI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only with BMD of distal Radius(r=0.194;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D either by smoking or exercis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ip strength was independently correlated with BMD of the proximal radius significantly(β=1.731, P<0.05), but not with BMD of the distal radius after adjusting the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BMD in middle aged men. Therefore it can be safely concluded that it is helpful to carry out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to improve muscle strength and increase BMD for preventing male osteoporosis.
초록
연구배경 : 근력과 골밀도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으며, 여러 연구들이 여성에 있어 악력과 골밀도와의 의의있는 관련성을 보고하였다. 남성의 골다공증 또한 최근 공중보건학적인 측면의 관심사로 대두되었지만 남성에 있어 근력과 관련된 골밀도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중년 남성의 악력과 골밀도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서 골밀도 증가를 위한 근력 강화운동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199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성광의료재단 검진센터 스포렉스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남자 3,125명 중에서 골밀도 검사와 악력측정을 동시에 시행한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연구대상자들의 흡연, 음주, 운동 정도가 조사되었으며, 영양사의 직접면담을 통해 일일칼슘섭취 상태가 측정되었다. 골밀도는 Osteoplan p-DXA를 이용하여 주로 T는 손의 요골 원위부 및 근위부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악력은 hand-held dynamometer를 이용하여 주로 T는 손의 등장성 악력을 kg단위로 측정하였다.

결과 : 악력과 요골 원위부 및 근위부 골밀도는 의의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각각 r=0.208; P<0.01, r=0.255;p<0.01), 나이와 요골 원위부 및 근위부 골밀도는 의의있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각각 r=-0.313; P<0.01, r=-0.190; P<0.05). 칼슘섭취와 골밀도는 의의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신체비만지수의 경우 요골 원위부 골밀도와 의의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으나(r=0.194; P<0.05), 요골 근위부 골밀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연구 대상자의 흡연, 운동 유무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나이, 신체비만지수, 운동, 칼슘섭취를 보정한 후 요골 근위부 골밀도와 악력 사이에는 독립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며(β=1.731, P<0.05), 요골 원위부의 경우 골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악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결론 : 중년남성에 있어 악력과 골밀도는 의의있는 관련성을 보인다. 따라서 골밀도의 증가를 위한 적극적인 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서 근력을 향상시키고 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남성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