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2):178-183.
Published online February 1, 2001.
Prevalence of atrial fibrillation in general population in Kangwon Province.
Myoung Kuk Jang, Ja Young Lee, Seong Gyun Kim, Kyu Heung Cho, Yong Sang Yang, Dong Seok Yoon, Sung Heon Chae
1Kangwon Branch, Korea Association of Health, Chunchon.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3Kangwon Branch, The Korean National Tuberculosis Association, Chunchon.
4Han Family Clinic, Seoul, Korea.
강원도 지역주민의 심방세도 유병률
장명국, 이자영, 김성균, 조규홍, 양용상, 윤동석, 채승헌
1
2
3
4
Abstract
Background
: Atrial fibrillation is the commonest arrhythmia seen in clincial practice. However, there have been no epidemiologic data on its prevalence in general populaton of Korea.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revalene of atrial fibrillaton in Korea.

Methods : From March 1, 1999 to July 31, 2000, Kangwon Branch, Korea Association of Health(KAH) performed electrocardiogram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in the general public in Kangwon Province. We analqzed these data by chi-square(χ²) test.

Results : A total of 45,133 persons participated in the health screening performed by KAH. The number of persons above 40 years old was 13,768, with men and women 6,367(46.2%) and 7,401(53.8%) respectively. Prevalence among those above 40 years old was 0.72% and the prevalence among men, 0.96% (61 perso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0.51% (38 persons)(p<0.01). In the group above 60 years old with the prevalence of 1.24%, a similar phenomenon was observed with 1.57% (40 persons) in men and 0.97% (29 persons) in women (p<0.05).

Conclusion : Prevalence of atrial fibrillation became higher as age increased, specifically in persons older than 40 years.
초록
연구배경 : 심방세동은 임상에서 가장 흔히 보는 부정맥이지만 우리나라의 유병율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방법 : 1998년 3월 1일부터 2000년 7월 31일까지 한국건강관리협회 강원도지부에서 12지(12-leads) 심전도를 체크한 6세이상 피검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과 전문의 2인이 1)R파간 간격이 불규칙하고 2)명확한 P파가 보이지 않으면서 기저선의 불규칙성(undulation) 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를 심방세동으로 하였으며 chi square(χ²) 검정을 이용해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 40세 이상 피검자는 총 13,768명으로 남자 6,367명(46.2%), 여자 7,401명(53.8%) 이었으며 이들의 심방세동 유병율은 0.72%로 40세 미만(0.00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40, 50, 60, 70대와 80세 이상의 유병율은 각각 0.19%, 0.53%, 0.71%, 2.74%, 2.56%로 70대에서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였다. 40세 이상 59세 미만 피검자의 유병율은 0.37%(8,217명중 30명)였으며 60세 이상에서는 1.24%(5,551명중 69명)로 고령일수록 유병율이 높았다(p<0.001). 40세 이상 피검자중 남자의 양성율은 0.96%(6,367명중 61명)로 여자 0.51%(7,401명중 38명)보다 의미있게 높았다(p<0.01). 60세 이상에서도 남자와 여자 각각 1.57%(2,548명중 40명), 0.97%(3,003명중 29명)로 남자에서 의미있게 높은 유병율이 관찰되었다(p<0.05).

결론 : 강원도 지역주민의 심방세동 유병율은 40세 이상에서 0.72%, 특히 60세 이상에서 1.24%로 연령 증가에 따라 그 유병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고령의 무증상 지역주민에 대한 선별적인 교육과 예방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