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9):1172-1179.
Published online September 1, 2000.
The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abdominal fatness.
Jong Ho Kim, Hee Young Kim, Chun Hwa Song, Keun Mi Lee, Seung Pil Jeu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
흡연이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이근미, 김희영, 정승필, 김종호, 송춘화
영남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With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recent years, much interest has focused on obesity nowdays. Inerease in abdominal fatness and there is some possibility that smoking has effect on obesity.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smoking on abdominal fatnes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475 individual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Youngnam University Hospital in May, 1999. The subjects were checked on age, sex, life style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exercise, etc.), past medical history, blood pressure, height, weight,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 and other obesity indexes.

Results : In men, waist circumference(P<0.01), body fat percent (P<0.05), waist hip ratio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moking after adjustment for BMI, age, alcohol intake,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But, the waist circumference, waist to hip ratio and percent body fat of mild smoker were rather shorter than that of the non-smoker or on who abstained from smoking.

Conclusion : In men, it seems that obesity index of abdominal fatness may be significantly high in moderate to heavy smokers and low in mild smokers.
초록
연구배경 : 우리나라에서 과거에는 관심도가 낮았던 비만증이 최근에는 유병율의 증가와 함께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복부비만은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인 동시에,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흡연은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그 영향에 대한 우리나라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흡연이 체지방 및 복부비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영남대학교 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475명을 대상으로 나이, 성별, 흡연력, 음주력, 과거병력, 신체활동도, 운동정도 등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고, 혈압,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측정하였으며, 혈액검사를 통해 공복시 혈당, 혈중 지질농도를 측정하고, 전기저항법(InBody 2.0)을 이용하여 체지방량을 측정하여 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총 475명의 대상자 중 남자에서의 흡연율은 64.0%, 여자의 흡연율은 2.2%로 나타났다. 여자의 흡연율이 너무 낮아, 남자만을 대상으로 흡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이, 신체활동, 운동, 음주량을 보정했을 때 남자에서 흡연은 허리둘레(P<0.01), 체지방율(P<0.05), 허리 엉덩이둘레비((P<0.01)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질량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량에 따른 차이를 보면 BMI, 나이, 신체활동, 운동, 음주량을 보정했을 때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허리둘레, 체지방률과 허리 엉덩이둘레비는 증가하지만, 경도 흡연자의 경우에는 오히려 비흡연자나 금연자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 의하면, 성인 남자의 경우 경도의 흡연자에서는 오히려 비흡연자나 금연자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나 흡연량이 많을수록 복부비만지표인 허리둘레와 허리 엉덩이둘레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