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loye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no-smoking policy in a hospital. |
Seong Won Kim, Hong Kyoon Lee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je University, Korea. 2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je University, Korea. |
원내 금연방침에 대한 직원들의 지식과 태도 |
김성원, 이홍균 |
1 2 |
|
|
Abstract |
Background : Although institution of the no-smoking areas have been required in hospitals since 1995, It has not been evalu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no-smoking areas, and to collect employee's opinions about no-smoking policy in th hospital.
Methods : The self-administered anonymous survey was distributed to all employee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January 1999. Respondents were asked about their smoking status, awareness and compliance of the no-smoking areas, perception of tobacco smoke during work, preference for the type of no-smoking policy. Differences in outcome vairables' distribution by sex, smoking status, and occupation were analyzed using x² analysis.
Results : The overall response rate for the survey was 65.3%(670/1026). Among the total, 77.9% were females, and mean age of the respondents was 31.6 years(±80). While the overall smoking prevalence was 10.6%, men's prevalence was 46.6%. Although the awareness of the no-smoking areas was high in most areas, the rate of which all of the 10 no-smoking areas had been well kept was only 15.2%, 47.% of non-smokers reported that they could still smell some tobacco smoke while on duty. While 65.5% agreed on the opinion that penal regul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not to violate no-smoking areas, only 32.1% agreed on the current policy without penalty. 80% of smokers replied that they would follow the strict no-smoking policy.
Conclusion : The current no-smoking areas was not well observed. However, most employees wanted the no-smoking policy with penal regulation. Therefore, this survey could provide a solid foundation to implement a strict no-smoking policy. |
초록 |
연구배경 : 1995년부터 병원에 금연 구역을 설정하도록 규정되었지만, 이것이 제대로 지켜지는지를 평가한 적은 없었다. 본 연구는 금연 구역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바람직한 원내 금연방침에 대한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1999년 1월 상계백병원의 전 직원을 대상으로 금연 구역의 인지도 및 준수도, 간접 흡연의 노출 정도, 금연방침에 대한 선호 등을 묻는 설문 조사를 익명으로 시행하였다. 성별, 흡연 상태, 직종에 따른 결과 변수의 분포 차이를 X²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응답률은 65.3%(670/1026)이었으며, 이 중 여자는 522명(77.9%)이고, 평균 연령은 31.6세(±8.0세)이었다. 직종은 52.5%가 간호직이고, 행정직, 기술직, 의사직, 기타 직종이 각각 13.4%, 12.8%, 11.9%, 9.3%이었다. 흡연율은 10.6%이었고, 남자 흡연율은 46.6%이었다. 병원 내 금연 구역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응답자의 72.8%이었으나, 금연 구역 10개소 모두가 잘 지켜진다고 답한 사람은 15.2%에 지나지 않았다. 비흡연자의 47%는 근무 중에 조금이라도 담배 냄새가 난다고 보고하였다. “금연 구역을 위반하지 못하도록 벌칙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에 66.5%가 동의한 반면, 현행대로 유지하자는 의견은 32.1%에 지나지 않았다. 흡연자(27.3%)보다는 비흡연자(70.3%)가, 남성(46.1%)보다는 여성(70.3%)이 , 여타 직종(56.3%)보다는 간호직(72.7%)이, 금연 구역이 잘 지켜진다는 군(54.0%)보다는 그렇지 않은 군(75.3%)이, 근무 중에 담배 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군(55.4%)보다는 그렇다는 군(76.0%) 등이 강력한 금연방침을 더욱 선호하였다(모두 p<0.0001). 원내에서 전혀 흡연할 수 없도록 하는 방침에 흡연자의 81%가 따르겠다고 답하였다.
결론 : 기존의 금연구역은 실효성이 없었지만, 응답자의 대부분이 벌칙 규정이 있는 강력한 금연방침을 원하고, 흡연자의 대부분이 이 방침을 따르겠다고 응답하여 향후 새로운 원내 금연방침을 시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