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8):1035-1041.
Published online August 1, 2000.
3Month follow up results after alendronate therapy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Han Jin Oh, Woo Nam Moon, Hyun Koo Yoon, In Kwon Han
1Dept. of Family Medicine, Samsung Chei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2Dep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Chei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3Dept. of Internal Medicine, Samsung Chei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갱년기 골다공증 환자의 alendronate 3 개월 치료 효과 (3 Month follow up results after Alendronate therapy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오한진, 문우남, 윤현구, 한인권
1
2
3
Abstract
Background
: Increased bone turnover results in bone loss after menopause. After menopause, the major cause of bone loss is estrogen deficiency. Rate of bone loss seems to increase after menopause and then formation coupled with resorption is also increased. Antiresorptive drugs are known to be helpful in preventing bone loss. Alendronate is one of antiresorptive drugs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which results in a decrease in bone turnover. Some papers report about nonresponders to antiresorptive drugs, and screening people early is very important to optimal management. There are no available data of Korean people.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alendronate in Korea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after 3 months of treatment.

Methods : We studied 96 women with postmenopausal osteoporosis (bone mineral density{BMD} T score<2.5) who visited Climacteric Clinic in Samsung Cheil Hospital from Jan. 1999 to Jul. 1999. Subjects were stratified in to 3 group: Group 1 treated with alendronate (Fosamax ; MSD, Rahyway, NJ, USA) 10mg/day and estrogen, Group 2 treated with calcitonin nasal spray 100 IU every other day and estrogen, and Group 3 treated with estrogen alone for 3 months. We measured serum marker of bone formation (osteocalcin [BGP]), and marker of bone resorption (deoxypyridinoline [DPYD] from urine at baseline and 3 months after treatment.

Results : The mean difference in change of markers among the three groups at the end of study that were significant were BGP 25.7±4.8% and DPYD 23.3±2.3%. DPYD known as bone resorption marker showed a significant response in alendronate and estrogen therapy group than estrogen alone group (P<0.05). Also, BGP showed response to estrogen alone, and calcitonin and estrogen group, but its responsiveness was lesser than alendronate therapy.

Conclusion : Our data showed that using alendronate with estrogen in patients of osteoporosis further prevents bone resorption. Therefore, we conclude that alendronate therapy with estrogen is helpful managing osteoporosis patients.
초록
연구배경 : 골흡수 억제제로 골다공증 환자를 치료하면 골대사 지표들은 감소하고, 이에 따른 결과로 골밀도는 증가한다. 이미 골대사 지표들이 골교체율을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으며, 또한 골밀도의 증가도 예측할 수 있다. 반면, 골밀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골대사 지표를 치료 도중에 측정하는 것은 치료효과와 환자의 치료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훌륭한 도구로 생각된다. 최근 한국에서 골다공증의 치료에 alendronate (Fosamax)의 이용이 시작되었으나, 치료 후의 한국인의 반응에 대한 연구가 아직 없으며, 또한 여성호르몬 대체요법과의 비교 연구 또한 없어 이를 비교 확인하기로 하였다.

방법 : 1999년 1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삼성제일병원 갱년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골다공증으로 치료를 받은 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의 치료전과 후의 골대사 지표변화를 paired sample T-test로 비교하였다. 대상자들은 치료 방법에 따라 여성호르몬과 alendronate를 사용한 군을 1군으로, 여성호르몬과 calcitonin nasal spray를 동시에 사용한 군을 2군으로, 여성호르몬만 사용한 3군으로 구분하였으며, 3개월 후의 골대사 지표의 변화를 one way ANOVA test로 비교하였다.

결과 : 모든 대상자는 paired sample T-test로 학인한 결과 3개월 치료 후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한 골대사 지표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각 군의 골대사 지표의 변화의 차이를 one way ANOVA test로 비교한 결과 골생성 지표인 오스테오칼신은 제1군에서 31.1±7.3%, 제2군에서 23.6±8.1%, 제3군에서 23.7±7.9%의 감소를 나타냈으나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골흡수 지표인 deoxypyridinoline은 제1군에서 29.8±4.3%, 제2군에서 23.1±3.3%, 제3군에서 15.9±5.1%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1군의 감소치는 3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부작용으로 alendronate사용 대상군 22예 중 1예에서 경미한 상복부 증상이 나타났다.

결론 : 폐경 후 골다공증이 발생한 사람에게 alendronate와 여성호르몬을 3개월간 동시에 사용한 결과 여성호르몬만을 사용한 군에 비해 골흡수 지표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따라서 더 많은 골대사의 감소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나타난 부작용이 경미한 상복부 증상 1예로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alendronate를 여성호르몬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