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8):1027-1034.
Published online August 1,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depression in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Hee Young Kim, Youn Jeong Heo, Keun Mi Lee, Seung Pil Ju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ollege, Korea.
폐경 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골밀도와 우울 성향과의 관련성
이근미, 김희영, 허윤정, 정승필
영남대학교 의료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Osteoporosis is an important and common medical problem in postmenopausal women. Depression is another major public health concern. Due to the high prevalence of both depression and osteoporosis, even a weak association between them might result in a greater health problem.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ho visited the office of family medicine department and the health screening and diagnosis center in one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to May, 2000 were selected. BMD was measured at the lumbar spi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e evaluated the depression scale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subjects who had disorders known to interfere with bone metabolism or those who had taken medication related to depression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Results :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ere noted between BMD and height and weight (P<0.05) but no correlation was found with depression in perimenopausal women. In postmenopausal wome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BMD and age, and postmenopausal duration and depressio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MD and height and weight (P<0.05).

Conclusion : Our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BMD in postmenopausal women which was independent of other factors strongly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초록
연구배경 : 골다공증은 특히 폐경 후 여성에서 중요한 건강 문제로 유병률을 가진다. 우울증 또한 일반 인구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건강 문제로 우울증과 골다공증은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약한 상관관계를 가지더라도 건강문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폐경 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우울 성향을 평가하고 이와 골밀도가 독립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부터 5월 사이에 대구 시내 모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와 종합건강진단센터에서 골밀도를 측정한 폐경 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중 이전에 골다공증으로 치료 받았거나 호르몬제를 복용한 여성, 골대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질병을 가졌거나 약물을 복용한 여성,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는 여성을 제외한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폐경 주변기 여성이 36명, 폐경 후 여성이 114명이었다.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대상자들의 운동, 음주, 흡연력, 과거 병력을 조사하였고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통해 우울 성향을 평가하였다.

결과 :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는 키, 체중이 골밀도와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폐경후 여성에서는 나이, 폐경기간, 우울 성향과는 음의 상관관계를(P<0.05). 키, 체중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나이, 키, 체중을 보정한 후 폐경 후 여성에서는 골밀도와 우울 성향간에 독립적인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P<0.05)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는 우울 성향과 골밀도 감소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폐경 후 여성에서 독립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