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6):753-761.
Published online June 1, 200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overweigh and large waist circumference.
Yong Woo Park, Ho Cheol Shin, Cheol Hwa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
과체중 및 제지방 분포와 건강관련 삶의 질
김철환, 신호철, 박용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The relationship between abnormal body fat distribution and increased risk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s well established. Less is known about the impact on function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quant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fat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Catholic Medical Center Health Survey(CMCHS) V 1.0. Tertiles of body was index(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484 adult persons visiting a university hospital-based Health Screening Center were compared. To estimate the relative risks of poor health in those with high BMI and large waist circumference,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determin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Compared with the reference group (subjects with waist circumference in the lowest tertile), the odds ratios for men with waist circumference in tertile 3 were 2.24 (95% CI:1.15-4.36) for social function, and 2.5(95% CI:1.05-9.97) for bodily pai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shown in other domains. The odds ratios of subjects with the largest BMI, compared with those in the lowest tertil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10 domains.

Conclusion : Large waist circumferences affects quality of life in the domains of social function and change in health for men, and bodily pain for women.
초록
연구배경 : 체질량지수와 허리 둘레가 질병 이환율이나 사망률, 혹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과체중 및 복부비만 정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비만의 유병율 및 중등도 이상 비만이 구미 각국에 비해 아직 낮은 수준인 우리 나라 비만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여 관리 및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3월 22일부터 5월 17일까지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서 건강진단을 받은 수진자 484예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삶의 질 평가는 Catholic Medical Center Health Survey(CMCHS) V 1.0을 이용하여 신체적 기능, 정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역할의 제한, 전반적 건강, 현재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건강 상태의 변화, 건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신체 통증 및 활력의 10개 척도를 평가하였으며, 신체계측은 신장, 체중,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를 측정하였다.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를 삼분위수(tertile)로 나누어 제1삼분위수를 기준으로 불량한 삶의 질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령 및 흡연, 음주, 신체 활동량을 보정하고 대응위험도(odds ratio) 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결과 : 조사 대상자들의 체질량 지수 및 허리 둘레를 3분위수(tertile)로 나눈 후, 제 1삼분위수(남자는 체질량지수 22.8kg/m2 미만, 허리둘레 82 cm 미만, 여자는 체질량지수 22.2kg/m2 미만, 허리둘레 72cm 미만)를 기준으로 제1 및 제3 삼분위수의 불량한 삶의 질 척도에 대한 대응위험도를 구한 결과, 남자의 경우 사회적 기능 및 건강상태의변화 척도에서 허리 둘레 3 삼분위수 군(群)이 제1 삼분위수 군을 기준으로 불량한 건강상태에 대한 대응위험도가 각 2.24(95% CI:1.15-4.36), 2.5(1.02-6.11)였으며, 다른 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여자는 신체 통증 척도에서 허리 둘레 제3 삼분위수 군(群)이 제 1삼분위수 군을 기준으로 3.23(95% CI:1.05-9.97)였으며, 그밖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척도는 없었다.

결론 : 체질량지수는 삶의 질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허리둘레는 남자의 경우 사회적 기능, 건강상태의 변화 척도에서 여자의 경우 신체통증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