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5):615-624.
Published online May 1, 2000.
FACES III in the Korean adolescents.
Byung Su Ko, Woo Su Shim, Yun Ju Kang, Jae Yong Shim, Hye Ree Lee, Dong Hyun Ahn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Seoul School Health Center, Koera.
2Department of Pa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Koera.
청소년의 가족 적응력 , 결속력 평가
강윤주, 이혜리, 심재용, 고병수, 심우수, 안동현
1
2
Abstract
Background
: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when FACES III are used as tools to evaluate family function of adolescents.

Methods : From May to June1996,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 FACES III were conducted on 2,43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males:1,190, female:1,240) in Seoul and Yangpyung, Kyunggi-Do. There were eight schools(four middle school, four high school) in Seoul and two schools(one middle school, one high school) in Yangpyung, Kyunggi-Do in this study. Also, education level of parents, occupational status of parents, family types(extended/nuclear), number of family member and numbers of siblings were assessed.

Results : The mean values of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oul students, in females, and in nuclear families. The mean values were higher in single sibling than two or more and in parents with higher education. The mean values of cohe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oul student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family members of 5 and under. The mean values were higher in those without a sibiling and in those with above college education.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gender, area, occupational status of mother and grade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 mean values of adaptability and educational level of mother and grade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 mean values of adaptability and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grade and numbers of sibling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ean values of cohesion.

Conclusion : We consider that there are problems in deciding the cut-off point and in the questionnaires of survey when the FACES III is used as a tool for evaluating family function of adolescents. Trials of combining other tools of family function or consideration of lower concepts are needed in other to be applicable to the individual conversation and clinical surroundings.
초록
연구배경 :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가족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족 적응력 · 결속력 척도(FACES Ⅲ)를 사용할 경우 발견되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5-6월에 서울시내 중고등학교 8개교(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4개교) 및 경기도 양평지역 중고등학교 2개교(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에 재학중인 학생 2430명(남자:1190명, 여자:1240명)을 대상으로 가족 적응력 · 결속력 평가 척도 (FACES Ⅲ) 및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유무, 가족의 형태(대가족/소가족), 동거 가족의 수, 형제자매의 수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 : 적응력 점수의 경우 양평 지역보다 서울 지역에서, 남자보다 여자에서, 대가족보다 핵가족에서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자신을 제외한 형제자매 수가 2명 이상인 경우보다 1명인 경우에 더 높았고, 부모의 학력 수준이 낮은 경우 보다 높은 경우에 더 높았다. 결속력 점수의 경우 양평 지역보다 서울 지역에서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에서, 동거 가족수가 5인 이상인 경우보다 그 미만인 경우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자신을 제외한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보다 없는 경우에 더 높았고, 부모의 학력이 고졸 이하인 경우보다 대졸 이상인 경우 더 높았다.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학력 수준, 성별, 지역, 어머니의 직업 유무, 연령대 등이 적응력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부모의 학력 수준, 연령대, 형제자매 수 등이 결속력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결론 :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가족 적응력 · 결속력 척도(FACES Ⅲ)를 청소년의 가족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청소년 단독만을 대상으로 조사할 경우, 특히 그 기준점 설정이나 용어사용 등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개별적인 상담 및 진료장면에 적용될 경우, 전체적인 점수를 기계적으로 파악 하기보다 여타 검사도구들과 병용하거나 각 하부항목에 대해 고려하는 등 보다 개별화시키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