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2):254-264.
Published online February 1, 2000.
Weight control behaviors of obese adolescents.
Su Yeon Park, Yun Ju Kang, Yong Kyung Shin, Sun Im Moon, Hye Ree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Seoul School Health Center, Korea.
비만 청소년의 체중조절 행태
강윤주, 이혜리, 박수연, 신용경, 문선임
영동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서울특별시 학교보건원
Abstract
Background
: As childhood-onset obesity has been known to have a poor prognosis, and its prevalence is rapidly increasing, many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becoming concerned about obesity and try various weight control methods. This study assessed the experience and behaviors of weight control in obese adolescents.

Methods : A total of 732 among 840 obese students from 28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assess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trial rate of weight control. Elementary and high school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rial rates of weight control than boys(p<0.05). The methods more frequently used were physical exercise, and diet, drugs and other methods, and visits to obesity clinics in than order. Elementary school girls most frequently tried physical exercise while high school girls went on a diet more frequently. All groups of girls were dieting significantly more often than boys(p<0.05). High school girls were the most frequent users of drugs and other methods while elementary school boys and middle schoolgirls visited obesity clinics most frequently. Unhealthy weight control methods observed were monodiet(2.7%), fasting(1.9%), dieting pills(1.4%), and vomiting(0.1%). The mean number of weight control method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e possibility of overall weight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having higher weight dissatisfaction levels. The possibility of physical exerci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er ages, having mother with a career and a family history of obesity. The possibility of diet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older ages, having higher obesity index. The possibility of using drugs and other methods was significantly higher if they had higher weight dissatisfaction levels and a family history of obesity. The possibility of visiting obesity clinics was significantly higher if they had higher obesity index.

Conclusion : Although, exercise and diet were frequently chosen by obese adolescents for weight control, the number unhealthy methods chosen were found to be higher and physical exercise decreased wit increasing age. Therefore, an appropriate weight control program that is not detrimental to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is called for in early adolescence.
초록
연구배경 : 최근 그 이환율의 급증이 보고되면서 성인 뿐 아니라 소아에서도 비만은 가장 흔한 영양 및 일반적 건강문제들 가운데 하나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청소년들도 체중조절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체중조절을 시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비만학생을 대상으로 체중조절 경험 여부 및 그 형태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7년 5-6월에, 서울시내 14개 초등학교, 7개 중학교, 7개 고등학교를 무작위 추출한 후 각각 초등학교 5학년(만10-11세), 중학교 2학년(만13-14세), 고등학교 2학년(만16-17세)의 남녀 비만학생 (비만도30%이상) 84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근 1년간의 체중조절경험 여부 및 방법, 체중에 대한 불만정도, 어머니의 연령과 최종학력 및 직업, 가정의 경제수준, 비만의 가족력 등을 기입하도록 하였고,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총 732명의 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최근 1년간의 체중조절 경험률은 중학생 54.4%, 초등학생 51.2%, 고등학생 47.0%순이었고, 초등학생(p<0.01) 및 고등학생 (p<0.05)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체중조절을 많이 시행하였다. 흔히 경험한 체중조절방법은 운동요법(50.7%), 식이요법 (22.4%), 약물 및 기타요법 (6.7%), 비만클리닉 방문 (3.6%)의 순이었다. 운동요법은 초등학교 여학생이 가장 많이 (58.3%) 시행하였고, 식이요법은 고등학교 여학생 (37.1%)이 가장 많이 시행하였으며, 약물 및 기타요법은 고등학교 여학생에서 (7.3%), 비만클리닉 방문은 초등학교 남학생 및 중학교 여학생에서 (5.1%) 가장 많이 시행 하였고, 부적절한 체중조절 방법으로는 한가지 음식만 먹기(2.7%), 금식(1.9%), 살 빼는 약 복용(1.4%), 식사 후 구토(0.1%)등의 순으로 경험 하였다. 전체적인 체중조절은 여학생인 경우, 체중 불만정도가 높을수록 시행 가능성이 높았고, 운동요법은 학년이 낮은 경우,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경우에 시행가능성이 높았다. 식이요법은 여학생인 경우, 학년이 높은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시행 가능성이 높았으며, 비만 클리닉 방문은 비만도가 높을수록 시행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 비만 학생의 약 반수에서 체중조절 경험이 있었고 주로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을 시행하였으나, 일부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체중조절 형태를 보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과 조화를 이룰수 있는 적절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보다 조기에 도입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