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9;20(7):917-924.
Published online July 1,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and family function.
Moo Kyung Ahn, Sang Yeoup Lee, Yun Ji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기능성 소화장애와 가족기능과의 관련성
김윤진, 이상엽, 안무경
Abstract
Background
: Dyspepsia is a common problem. Functional dyspepsia accounts for 40% of all causes of dyspepsia. In view of biopsychosocial medicine, family is an important social background that is the basis of health care. Therefore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and family function.

Methods : The 64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group and 64 normal control group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1996 to June 1997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were examined with gastrofiberscop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liver function test.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were sub grouped into ulcer-like dyspepsia, dysmotility-like dyspepsia, and nonspecific dyspepsia. Patients not having these symptoms were classified into control group. For evaluation of family function, we used family APGAR.

Results : Among 64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50.0%(N=32) had ulcer-like dyspepsia, 26.6%(N=17) had dysmotility-like dyspepsia, and 23.4%(N=15) had nonspecific dyspepsia. Average family APGAR score was 5.83(±2.2) in the functional dyspepsia group, and 6.80(±2.4) in the control group(t-test, p=0.007). Among the functional dyspepsia group, moderately family functional subgroup was most common (53.1%), but among the control group, highly family functional subgroup was most common(62.5%). Among subgroups of the functional dyspepsia group, average family APGAR score of dysmotility-like dyspepsia subgroup was lowest.

Conclusion : Subgroups of functional dyspepsia were as follows; ulcer-like 50.0%, dysmotility-like 26.6%, and nonspecific dyspepsia 23.4%. The family APGAR score of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group was lower than normal control group.
초록
연구배경 : 소화장애 환자의 약 반수는 증상을 설명할 만한 기질적 원인이 없는 기능성 소화장애로 진단된다. 생정신사회적 모델 측면에서 가족은 건강 관리의 근본이 되는 중요한 사회적 배경이 될 수 있으나, 가능성 소화장애와 가족기능과의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저자 등은 기능성 소화장애와 가족기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1996년 12월 1일부터 1997년 6월 30일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를 방문한 환자 중 기능성 소화장애로 진단된 64명의 환자군과 연령과 성별로 1:1 짝짓기를 하여 선정한 정상 대조군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 군 모두 상복부 내시경 검사, 상복부 초음파 검사, 그리고 간기능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군은 정해진 기준에 따라 궤양 유사형 소화장애, 운동장애 유사형 소화장애, 비특이성 소화장애로 아형 분류되었다. 가족기능은 가족기능도 지수(Family APGAR scor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기능성 소화장애 환자 64명 중 궤양 유사형 소화장애 환자는 32명(50.0%), 운동장애 유사형 소화장애 환자는 17명(26.6%), 비특이성 소화장애 환자는 15명(23.4%)이었다. 기능성 소화장애 환자군의 가족기능도 지수는 평균 5.91(±2.19)점으로 정상 대조군의 6.98(±2.26)점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t-test, p=0.007). 기능성 소화장애 환자의 정상 대조군의 가족기능 분포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정상 대조군은 최상의 가족기능을 가진 사람의 비율이 62.5%인 반면에 기능성 소화장애 환자군은 중등도 가족기능을 가진 경우가 53.1%로 가장 많았다(χ² test, p=0.001). 기능성 위장장애의 아형 중에는 운동장에 유사한 소화장애의 가족기능이 가장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기능성 소화장애의 아형 중에 궤양 유사형 소화장애가 가장 많았다. 기능성 소화장애 환자군의 가족기능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