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stress and mental health of the job holder. |
Jeong A Cho, So Hee Jeong, Cheon So, Ki Nam Nam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Eulji College, Korea. |
직장인의 스트레스 양과 정신건강 상태와의 관계 |
남기남, 조정아, 정소희, 소천 |
|
|
|
Abstract |
Background : Job holders are groups that have suffered from chronic stressful condition. Nowadays, occupational stress are increasing due to Korean economic crisi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tress scores of several kinds of job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factors associated with stress.
Methods : Among workers who had visited a medical college hospital, Taejeon, Korea, for regular health evaluation from April 1 to June 30 1998, we selected 50 clerks, 50industrial workers, 50 profession-민, 50 service or salesmen and 50 public servants in the survey. A total of 159 workers were evaluated as subjects excluding those who had answered in adequately to the questionnaire. Stress scores were measured by Korean-translated BEPSI(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nd Bae Jong Myun's 30-items SRRQ(Social Readjustment Rating Questionnaire). Mental health status were checked by Korean-translated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
Results : The average BEPSI score of workers was 2.07±0.72. The mean score of female workers was 2.27±0.70 and it was obviously higher than male worker's score of 1.85±0.66. 20-29 year age group and over 40 year age group's amount of stress were obviously higher than 30-39 year age group. The low education level group had higher stress score than those with high education level but the amount of str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nthly income, job tenure, number of family members to support, hobby and religion. According to occupation, clerks, industrial workers, service or salesmen's stress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ofessional or public servants.
Conclusion : This investigation has show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job holder's stress and mental health including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sm.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best way to stay in good mental health is y stress control and prevention. |
초록 |
연구배경 : 직장인들은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집단으로 최근 국내 경제 상황의 악화로 직장 내 스트레스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직장별 스트레스의 정도와 스트레스 양과 정신 증상과의 관련 및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대전 시내 모 대학 병원에서 직장 정기 신체검사를 받기 위해 방문한 사람 중 사무직 50명, 근로직 50명, 상업 및 서비스직 50명, 공무원 50명을 임의 추출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응답한 163명 중 불성실 응답자 4명을 제외한 159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양은 한국어판 BEPSI(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번안 설문서와 배종면 등이 개발한 외래용 스트레스 측정 도구 30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정신 건강 상태는 한국어판 간이 정신 진단 검사(Symptom checklist-90-Revision)를 사용하여 각각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 직장인들의 평균 BEPSI 점수는 2.07±0.72였다. 직장 여성의 스트레스 양은 2.27±0.70로 남성의 1.85±0.66보다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20대와 40대 이상이 30대보다 스트레스 양이 많았다. 또한 교육 정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 양이 많았고 월수입, 근무 연수, 부양가족, 취미 유무, 종교 유무는 스트레스 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직업별로는 사무직, 근로직, 상업 및 서비스직이 전문직이나 공무원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양과 신체화 증상, 강박증, 대인관계 예민성, 우울증, 불안, 적대감, 공포, 편집증, 정신증의 모든 정신 증상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스트레스의 적절한 관리와 예방은 건강한 정신 상태 유지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