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8;19(12):1387-1399.
Published online December 1, 1998.
The effects of the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Yong Kyung Shin, Yun Ju Kang, Sun Im Moon, Su Yeun Park, Hye Ree Lee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Korea.
2Seoul School Health center, Korea.
청소년 금연 프로그램의 실시효과에 대한 연구
이혜리, 강윤주, 신용경, 고복자, 문선임, 박수연
1
2
Abstract
Background
: Despite widespread recognition of the hazardous health effects of smoking, adolescent smoking continues increase, emerging as a public health problem.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 smo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short-term effects of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performed by the Seoul School Health Center.

Methods : Four hundred and twenty adolescent smokers referred from their schools form March to December of 1996 were assess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with a self-questionnaire. The data acquired from these 420 students was analyzed.

Results : Male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rate of daily smoking as compared with females. Middle school students had an earlier starting age than those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70% of the students had tried to stop smoking and about 1/3 had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in stop smoking. More than 80% of the students were current alcohol drinkers and 10% ever had experience with other drugs. Many showed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 low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s. More than 50% had experienced punishment at school. Middle and high economic status were more common than low status, 73.3% had smokers in their families and 43.3% showed severe dysfunction in family APGAR. Smoking cessation rate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was 37.4%, highest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lowest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Factors shown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in males were school age, FTQ scores, presence of peer smokers, smoking and alcohol status, self-efficacy in stop smoking and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s. School age, presence of peer smokers, smoking and other drug use status, self-efficacy in stop smoking, academic performanc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experience of runaway from home, economic status and presence of smokers in their familie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females.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current alcohol users were less likely to succeed in smoking cessation and those with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in stop smoking were more likely to succeed in males. In females,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succeed while those with smokers in their families or experience of runaway from home were less likely to succeed.

Conclusion : To promote smoking cessation, specified and risk-based approaches are considered to encourage the motivation of adolescent smokers. For more effectiveness, programs will need to comprehensively include the school, the family, peers, alcohol and other drug issues as well as smoking problem itself.
초록
연구배경 : 최근 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감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흡연율이 증가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금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상습적인 흡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한 금연 프로그램의 단기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 1996년 3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내 중, 고등학교에서 의뢰되어 학교보건원 금연 프로그램에 참가한 429명에 대해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에 각각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중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420명(남자 중학생;108명, 남자 고등학생;166명, 여자 중학생;113명, 여자 고등학생;3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여자보다 남자에서 매일흡연률이 높았으며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흡연시작 연령이 낮은 경향을 보였고, 약 70%의 흡연 학생들이 한번 이상 금연을 시도하였으며, 1/3가량의 학생들이 금연 성공에 대한 자신감이 높다고 하였고, 니코틴 의존도(FTQ score)는 남자 고등학생에서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80% 이상에서 현재 음주를 하고 있었고, 10% 이상에서 기타 약물들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다. 학업성적은 하위권이며 학교 생활에 불만족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반수 가까운 대상자들이 학교에서 처벌을 받은 경험이 었었다. 과반수의 대상자가 가출한 경험이 있었고, 가족의 경제적 수준은 상류가 하류보다 많았으며, 73.3%에서 가족중 흡연자가 있었고, 44.3%는 중한 가족기능장애를 보였다. 금연 프로그램 실시 직후 37.4%에서 금연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금연 성공률은 여자 고등학생에서 가장 높았고 남자 고등학생에서 가장 낮았다. 금연 성공 여부와 관련된 요인들로는 남자의 경우 FTQ 점수, 친한 친구들의 흡연, 흡연 및 음주 상태, 금연 성공에 대한 자신감, 연령군,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 등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친한 친구들의 흡연, 흡연 및 약물 사용 상태, 금연 성공에 대한 자신감, 연령군, 학업성적, 학교 생활에 대한 만족, 가출 경험, 가정의 경제 수준, 가족의 흡연 상태 등이었다. 다단계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의 경우 현재 음주자인 경우 0.38배 금연에 성공할 가능성이 낮았고, 금연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수록 1.43배 금연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았다. 여성의 경우 고등학생인 경우(15.14배),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2.86배), 금연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았고 가출경험이 많을수록(0.63배), 가족내 흡연자가 있는 경우(0.25배) 금연에 성공할 가능성이 낮았다.

결론 : 흡연 청소년들의 금연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별, 위험요인별 차이를 고려하여 금연 동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흡연 문제 이외에도 학교·가정·교우 환경적인 문제들과 음주 및 기타 약물 사용의 문제 등이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