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8;19(2):177-190.
Published online February 1, 1998.
Relationship of Family Function and cellular Immunity in Healthy Adult Males.
Young Mee Lee, Yoon Seen Choi, Soo Young Yoon, Kap No Lee, Hey Kyung Park, Myung Ho Hong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Korea.
2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Korea.
건강한 성인 남자에서 가족기능과 세포성 면역기능의 관련성
이영미, 최윤선, 윤수영, 이갑노, 박혜경, 홍명호
1
2
Abstract
Background
: The immune system is controlled by a complex network of regulatory mechanisms which include neurologic and psychological factors. Previous studies of psychopathological population and population challenged by significant life events have shown that high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are associated with impaired cellular immunity. However, less is known about the psychoimmunological relevance of family function with the immune function in healthy popula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and dire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ellular immunity.

Methods : Design : Cross 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Participants : 41 healthy adult males from a family medicine ambulatory care unit in a tertiary hospital completed a series of psychometric instruments that include the Family APGAR(Adaptation, Partnership, Growth, Affection, and Resolve), FACES III. In parallel, lymphocyte subset assay, lymphocyte proliferative responses to the mitogen concanavalin(ConA), interleukin 1-beta, interleukin-2 was analysed to assess cell-mediated immune function.

Results : Family adaptability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otal T cell, B cell counts, helper T cell(T₄) and lymphocyte proliferative response to low dose mitogen Con A(p<0.05). Family cohesion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suppressor T cell(T8)(p<0.05). In the lymphocyte proliferative response to low dose Con A stimulation, the extreme family showed the highest response compared to midrange and healthy family(p<0.05). Relative to moderately dysfucntional family, severe dysfucntional family and healthy family had significantly higher lymphocyte proliferative responses to the high dose Con A(p<0.05).

Conclusion : We suggest that family function could be related with immune function and it may impact on health and susceptibility to illness in healthy adult mal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 of family function and cellular immunity and the psychosocial mechanisms involved in the immune system.
초록
연구배경 : 가족기능은 질병 발생과 밀전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가족기능과 질병 발생사이의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는 면역기능과 가족 기능의 관련성 및 방향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 1997년 3월부터 7월까지 모 대학병원 가정의학과를 방문한 30대 및 40대 건강한 성인 남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족기능의 평가 도구로는 가족 기능도 지수(Family APGAR) 및 가족 적응력 결속력 척도(Family Adaptation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세포성 면역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림프구 아형 분석, 림프구 증식 반응, 림포카인을 측정하였다. 가족기능과 림프구 아형 분석, 림프구 증식 반응, 림포카인사이에 Spearman 상관 분석을 시행하였고 가족 기능도 지수 및 가족 적응력 결속력 척도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가족을 분류하여 세포성 면역기능의 평균값을 분산 분석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가족 적응력 척도는 T 세포(r=-0.32, p<0.05), B 세포 (r=-0.40, p<0.05), T₄세포(helper T cell)(r=-0.35, p<0.05)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가족 결합력 척도는 T8 세포(suppressor T cell)와 상관계수 -0.32(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가족 적응력 결속력 척도(FACES III)에 따라 가족 유형을 조화형, 중간형, 극단형의 3군으로 나누어 림프구 증식 반응을 비교한 결과 저용량의 Concanavalin A 자극시 극단형 가족이 중간형, 조화형 가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은 반응을 나타냈다(p<0.05). 가족기능도 지수(Family APGAR)에 따른 3가지 유형의 가족에서 고용량 Concanavalin A 자극에 대한 림프구 증식 반응 비교 시 중증 기능 장애 가족, 건강한 가족, 중등도 기능 장애 가족 순으로 증식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 가족 기능은 세포성 면역기능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연구를 통하여 가족기능과 면역기능사이의 부정적 혹은 긍정적 상관관계와 같은 방향성이 밝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