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Spine and Hip in Postmenopausal Women. |
Sin Kyu Choi, Ju Hye Yoon, Eung Soo Kim, Jang Kyun Oh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reventive Medicine, Taejeon Sun General Hospital, Korea. |
폐경기 여성에서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이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최신규, 윤주혜, 김응수, 오장균 |
중문의대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
|
|
Abstract |
Background : The improvement is social economic standard of living and aging bring high attention to osteoporosis in women. Many studies have been released so far about how effectively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in postmenopausal women works for the in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BMD) in hip and vertebrae with the different rate of bone form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believed that HRT could increase BMD of hip and lumbar vertebrae reduce fractures caused by osteoporosis. In this study, we will find the effect of HRT on the increase in BMD of lumbar vertebrae and hip in postmenopausal women, by measuring and comparing BMD of lumbar vertebrae with high rate of trabecular bone to that of hip with high rate of cortical bone one year after HRT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Subjects were 48 out of 325 postmenopausal women patients who visited osteoporosis clinic, Sun Hospital, Taejeon,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5 and had the osteoporosis test and the vertebrae osteoporosis test one year after.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nge of BMD in each part by retesting BMD of lumbar vertebrae and hip one year after the continuous HRT in women. SPSS/PC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dure.
Results : Subjects have mean age of 54.8±4.5 years, mean menopausal age of 48.4±3.5 years, mean postmenopause period of 6.5±5.9 years, mean body mass index 23.4±3.1kg/m², mean weight of 56.7±7.8kg and mean height of 154±5.5cm. No correlation was observed of their age, menopausal age, the number of years since menopause and body mass index to the changing rate of BMD in lumbar vertebrae and femur one year after HRT in women. The BMD prior to treatment was, respectively, as follows ; L2-L4(0.8983±0.11g/cm²), Hip(neck, 0.7597±0.10g/cm² ; trochanter, 0.6259±0.08g/cm² ; Ward's triangle, 0.5186±0.90g/cm²), and that one year after treatment ; L2-L4(0.9277±0.11g/cm²), Hip(neck 0.7592±0.00g/cm² ; trochanter, 0.6322±0.08g/cm² l Ward's triangle, 0.5340±0.09g/cm²).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BMD of lumbar vertebrae and femur Ward's triangle(P<0.01) among BMD of each part one year after HRT, but BMD of femur nexk and that of trochanter region has no significant increase.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one year treatment with HRT in postmenopausal women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BMD of not only lumbar vertebrae with lots of trabecular bone but also Ward's triangle regions of femur, regardless of age and postmenopausal period of postmenopausal women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It is considered that HRT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osteoporotic fractures of lumbar vertebrae and hip on postmenopausal women, and that postmenopausal period would not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beginning of HRT treatment. |
초록 |
연구배경 : 사회의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노령화로 여성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폐경기 여성에서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이 골조성 비율이 다른 요추 및 대퇴부 골밀도 상승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이제까지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다. 또한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은 요추 및 대퇴부의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낮출 수 있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여성에서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 1년 후의 소주골 비율이 높은 요추와 피질 비율이 높은 대퇴부의 골밀도를 측정 비교함으로써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이 폐경 후 여성에서 요추와 대퇴부의 골밀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대전 선병원 골다공증 클리닉을 방문한 폐경기 환자 중 골다공증 검사를 실시하고 1년 후 추적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한 325명의 여성 중에서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을 지속적으로 1년간 시행한 후 요추(L2-L4)와 대퇴부(경부, 전자부, Ward's triangle)에서 골밀도를 재측정하여 각 부위별 골밀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PS를 이용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4.8±4.5세, 평균 폐경 연령은 48.8±3.5세, 폐경 후 기간은 평균 6.5±5.9년, 평균 체질량지수는 23.40±3.1kg/m², 평균 체중은 56.69±7.8kg, 평균 키는 154±5.4cm 이었다.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 1년 후 대상군의 나이, 폐경 연령, 폐경기간, 체질량지수와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 변화율과의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호르몬 대체요법을 하기 전 각 부위별 골밀도는 L2-L4(0.8983±0.11g/cm²), Hip(neck, 0.7597±0.10g/cm² ; trochanter, 0.6259±0.08g/cm² ; Ward's triangle, 0.5186±0.09g/cm²) 이었으며,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 1년 후 각 부위별 골밀도는 L2-L4(0.9277±0.11g/cm), Hip(neck, 0.7952±0.11g/cm²; trochanter, 0.6322±0.08g/cm²; Ward's triangle, 0.5340±0.09g/cm²) 이었다.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 1년 후 각 부위별 골밀도 중 요추(P<0.000)와 대퇴골의 Ward's triangle(P<0.01)에서의 골밀도는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대퇴경부 및 대퇴 전자부(trochanter region)에서의 골밀도는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폐경 후 여성에서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을 1년간 시행한 결과, 시행 당시 폐경 연령 및 폐경 기간에 관계없이 소주골이 많은 요추와 대퇴골의 Ward's triangle에서의 골밀도는 유의한 증가를 관찰하였는데, 이는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이 폐경 후 여성에서 요추 및 대퇴부의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사료되며,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의 시행점은 폐경 기간과는 무관할 것으로 사료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