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Associated with Serum Triglyceride Level in Healthy Adults. |
Hyoyee Jeon, Belong Cho, Young Ho Yun, Taiwoo Yoo, Bongyul Huh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
정상 성인에서혈청 중성지방치와 관련된 인자 |
전효이, 조비룡, 윤영호, 유태우, 허봉렬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Previously, a large epidemiological study has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 serum triglyceride level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by treating it, the mortality due to coronary artery disease could be decreased. Our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serum triglyceride level in healthy adults and to study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serum triglyceride level.
Methods : Study involved all patients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May 1995 to Feb 1997. After a complete history and a physical examination, each participant answered a questionnaire involving sociodemographics, tobacco, alcohol, exercise, menstrual cycle and daily dietary contents. A blood chemistry was also drawn after 12 hours of fasting. We used analysis of co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rrelate triglyceride level with forementioned variables.
Results : Healthy 3,332 men and 2,986 wome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average triglyceride level was 110.7mg/dl(geometric mean). Men at 50's had the highest level of triglyceride. As women aged, their triglyceride level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in their 40's in men and 70's and over in women with triglyceride >220mg/dl, a value of clinical importance, was 19.0% and 18.4%, respectively. The triglyceride level chang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MI, exercise, physical fitness, alcohol, tobacco, blood pressure, uric acid and glucose.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diet, thyroid function, income and region. For m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riglyceride level in decreasing order, were BMI, uric acid, tobacco, diastolic blood pressure, ALT and maximal oxygen uptake. However, for women, a similar analysis showed that BMI, systolic blood pressure, exercise, tobacco and age played a significant role(p<0.001).
Conclusion : Serum triglyceride level was associated with correctable behavioral factors such as obesity, smoking, alcohol,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Among these factors obesity was the most related factor with triglyceride level. |
초록 |
연구배경 : 대규모 역학 조사를 통해 혈청 중성지방이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며, 이를 교정하면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의 혈청 중성지방치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변수, 흡연력, 음주력, 운동량, 월경력, 식이 상태에 대한 설문을 하고 12시간 공복 후 혈청 중성지방치를 측정하였다. 변수들에 따른 혈청 지질치를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분석과 다변량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건강한 성인 남자 3,332명과 여자 2,986명을 분석하였다. 평균 중성지방치는 110.7mg/dl(기하 평균)이고 남자는 50대에서 가장 높았고 여자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여성에서는 폐경을 전후하여 급격한 중성지방치의 증가를 보였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치인 중성지방 농도 200mg/dl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은 남자는 40대에서 19.0%로 여자는 70세 이상에서 18.4%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혈청 중성지방치는 비만도의 증가와 음주량, 흡연량, 운동량에 따라 증가하였고, 식이나 갑상선 기능, 수입이나 지역,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회귀분석결과 남자에서는 BMI, 요산치, 흡연량, 이완기 혈압, ALT, 체력(최대 산소섭취량) 순으로 혈청 중성치와 관련이 있었고, 여자에서는 BMI, 수축기 혈압, 운동량, 흡연량, 연령 순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결론 : 혈청 중성지방은 비만과 가장 큰 연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흡연, 음주, 운동 등 개선 가능한 여러 가지 개인의 행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