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ignificance of CEA as a screening test for neoplasm. |
Chang Won Won, Byung Sung Kim, Dong Hoon Yang, Hyun Rim Choi, Jae Young Lee, Chang Sik Kim |
|
종양선별검사에서 혈청 암배아성 항원 ( Carcinoembryonic antigen , CEA ) 검사의 임상적 의의 |
원장원, 김병성, 양동훈, 최현림, 이재영, 김창식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It is necessary for most effective treatment of neoplasms to detect it in early stage. For the purpose we use many screening tests currently, however, the tumor marker have many limitations as a screening test for neoplasm. Nevertheless most of Hea-lth screening centers are using CEA as a screening test for neoplasm. So, we began this study for the assessment of validity of CEA as a screening test for neoplasm.
Methods : The subjects were 4265 persons who visited Health screening center of Kyung-hee Medical Center from July 1995 to June 1996. The number of elevated CEA among the subjects was 156. We evaluated the frequencies of factors known as etiologies of in-creased CEA. We followed up whether neoplasms were developed in normal CEA group. Through the random sampling of normal CEA group, 391 subjects were obtain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SPSS/PC+. Immunoradiometric assay kit of Eiken company was used for gauging CEA level and normal level was less than 2.4ng/ml according to manual of manu-facturer.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EA according to sex, age.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CEA were neoplasms, chronic lung disease, liver cirrhosis. In this study, smok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fibrocystic disease, chronic renal failure, al-cohol drinking, hepatitis, peptic ulcer disease known as etiologies of elevated CEA in other studie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9 cases of neoplasms were developed in both elevated CEA and normal CEA group during follow up. In former, 4 cases of 9 neoplasms were early stage. In latter, all cases were stage IV and inoperable.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CEA were each 96.5%, 50.0%. Positive &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CEA were each 5.8%, 99.8%.
Conclusion : CEA was increased in various benign conditions and even if any neoplasm exists, CEA was not elevated in most of all in early stage. Is showed high false positive rate and low sensitivity. Thus, this study showed that it was not valid to use CEA as a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neoplasms. |
초록 |
연구배경 : 대부분의 암은 조기 발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첩경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많은 선별검사가 실시되고 있다. 암의 선별검사로서의 혈중 종양 표지가 검사는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종합검진센터에서는 암, 특히 대장암의 선별검사로 CEA 검사를 이용하고 있어 이레 대한 검사의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 1995년 7월부터 1996년 6월까지 1년동안 경희의료원 종합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총 4,26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CEA 값이 증가한 경우는 156명이었다. 이들에서 CEA 증가원인으로 알려진 양성 및 악성질환의 동반빈도를 구하였으며 CEA 값이 정상인 경우에서 악성종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추적 관찰하였다. CEA 값이 정상인 군에서 난수표를 이용하여 391명을 추출하여 이들과 CEA값이 증가한 156명간에 질병 빈도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CEA 검사방법 및 정상범위는 Eiken 사의 immunoradiometric assay kit를 사용하여 2.4ng/ml 미만을 정상으로 하였다.
결과 : 성별, 나이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CEA 값에 영향을 주는 질환으로는 악성종양, 만성 폐질환, 간경화 등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CEA의 증가원인으로 알려진 흡연, 고혈압, 당뇨, 섬유낭성질환, 만성신부전, 음주, 간염, 소화궤양성의 경우는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추적관찰기간 중 CEA 값이 증가된 156명에서 악성종양이 9례가 발생하였는데 이들 모두 4기 및 수술 불가능한 상태였으며 CEA 값이 정상인 4,109명중에서는 악성종양이 9례가 발생하였으나 4례는 초기 암이었다. CEA 검사의 특이도는 96.5%로 매우 높았으나 민감도는 50.0%로 낮았고, 양성예측도 5.8%, 음성예측도는 99.8%였다.
결론 : CEA값은 양성 소화기질환 등 다양한 비악성질환에서 증가될 수 있고 악성종양이 있더라도 초기에는 대부분 증가되지 않아 위양성률이 높고 민감도가 낮으므로 무증상인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암의 조기발견을 위한 선별검사로 이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