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7;18(8):785-792.
Published online August 1, 1997.
The Usefulness of Clock Drawing Test as Screening for Dementia On the ba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lock drawing and MMSE-K.
Sang Hwa Lee, Wol Mi Park, Sung Hee Kim, Yae Sung Kang, Ji Young Ha, Hyo Ley Lee
노인성 치매 선별검사로서 시계 그리기 검사의 유용성
이상화, 박월미, 김성희, 강예성, 하지영, 이효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The prevalence of dementia is estimated to be as high as 11.3% among cou-mmunity-dwelling persons over 65 years of age in Korea. The fear of dementia for both patie-nts and families is growing because of the chronicity and progressiveness of the disease. Though the recogni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ementia are important for the care of older pateint, unfortunately, MMSE takes 5 to 10 minutes to administer and is cumber-some to carry for all elderly patients in busy office. The Clock Drawing Test has been known as valid, easily administered and low cost screening procedure for the congnitive impaiment associ-ated with dementia in general geriatric clinic population.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useful-ness of this measure as a screening test for dementia, on the ba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lock drawing and MMSE-K

Methods :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47 elderly who visited to two elderly clubs in Seoul from April 1996 through June 1996 or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of the Ehwa Mok-dong hospital. They received the Mini-Mental Status Exam and the Clock Drawing test. Three observers evaluated them by ratings from 10(best) to 1(worst).
Inter-rater reliability of scores from the Clock Drawing Test was assessed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cores from the Clock Drawing Test and MMSE-K.

Results : Their mean age was 75.4 tears with range of 65 to 91 years. There were 34 women and 13 men.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raters was highly significant(r=0.8939, 0.8552, and 0.8698, respectively ; P<.01). Compared to scores in MMSE-K, rating from clock drawings by each of 3 rater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r=0.7164, 0.7398, and 0.6884, re-spectively ; P<.01).

Conclusion : The clock drawings can be rated reliably by even untrained observers and per-formance on this task relates significantly to performance on MMSE-K of severity. We con-general screening tool for dementia in a geriatric clinic population.
초록
연구배경 : 치매증은 우리나라 65세 이상 일반 노인인구에서 11.3%의 유병률을 나타낼 만큼 흔하며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큰 고통과 부담을 주기 때문에 이를 조기 발견하고 평가, 관리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한 임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치매증을 선별하는데 쓰이고 있는 MMSE 검사는 시간이 10분 정도 소요되므로 바쁜 외래에서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비해 시계 그리기 검사는 평가자가 특별한 훈련을 받지 않고도 손쉽게 시행할수 있으며 노인들, 특히 알쯔하이머 병을 가진 환자들의 인지 장애여부를 선별하고 일부 환자에서는 질병 초기에 중요한 결핍까지도 알아낼수 있는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어 이의 임상적 유용성을 한국판-MMSE(MMSE-K)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4월부터 6월까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2곳의 노인정과 이대목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65세 이상의 노인 47명을 대상으로 MMSE-K 검사와 시계그리기 검사를 시행하였다. 시계그림이 모두 모아져 분류 가능하게 되었을때 3명의 평가자에게 각각 1점(가장 불량한 시계 그림)부터 10점(가장 양호한 시계 그림)까지 점수를 매기게 하였다. MMSE-K는 치매의 구분점을 24/33으로 하였고 시계 그림 점수는 7/6점으로 하였다. 각 평가자마다 시계점수를 기준으로 빈도분석을 하고 세 평가자간 시계 그리기 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MMSE-K 점수와 각 평가자 시계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 총 47명 중 여자는 34명, 남자는 13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75,4세로 65세어서 91세 사이였다. MMSE-K 23점 이하는 20명으로 남자는 2명, 여자는 18명이었고 MMSE-K 24점 이상은 27명으로 남자는 11명, 여자는 16명이었다. 3명의 평가자가 매긴 시계 점수에서 의사 A와 의사 B, 의사 A와의사 C, 의사 B와 C에서 각각 0.8938, 0.8552, 0.869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P<0.001) 평가자간 신뢰도가 높았다. 또한 MMSE-K 점수와 각 평가자 시계 점수간의 상관관계는 의사 A, 의사 B, 의사 C에서 각각 0.7164, 0.7398, 0.6884로(P<0.001)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결론 : 시계 그리기 검사는 특별한 훈련없이 누구나 외래에서 쉽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치매 선별 도구로서 앞으로 많은 일차 진료의들에 의해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것으로 기대된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051 View
  • 21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