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7;18(2):212-220.
Published online February 1,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ype A Behavior Patterns in Housewife.
Hee Ja Choi, Hyun Rim Choi, Chang Rae Lee, Chun Deok You
기혼여성에서 근골격계 증상과 A 형 행동양상의 관련성
최희자, 최현림, 이창래, 류천덕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대전성심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The psychosocial factors to the musculoskeletal disease ha been studied recently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Type A behavior pattern which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may have relation to musculoskeletal disease, and the authors studied the relations for these variables.

Methods : The studied subjects were 511 housewives sampled without intention at Taejon city and we excluded 76 persons who had experiences of trauma at neck, shoulder or back region during recent one year on the data analysis.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ype A behavior pattern were quantified as the score and the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revea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relations.

Results : Type A behavior pattern had the relation to the symptoms of neck, shoulder, and back region. For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relations were significant for the group of younger age, lower socioeconomic level, and the group having full time job, lower body mass index.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ype A behavior pattern was the possible risk factor for musculoskeletal disease, but more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 influence of behavior pattern to musculoskeletal disease.
초록
서론: 근골격계 증상의 원인적 인자로서 작업과 같은 신체적 요인 이외에 사회심리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근골격계 증상을 비교적 많이 호소 하는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A형 행동양상과 근골격계 증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기혼여성 중 임의로 추출한 5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근 외상의 경험이 있었던 76명을 제외한 4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최근 1년간의 목, 어깨, 허리 부위의통증 정도와 빈도 및 A형 행동 양상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근골격계 증상과 A형 행동양상은 점수화하여 관련성을 보았으며, 상관계수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근골격계 증상 점수는 A형 행동양상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P<0.05),목, 어깨, 허리 각각의 통증 점수도 A형 행동양상의 점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연령군별로는 연령이 낮은군일수록 관련성이 높았고, 50대 이상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따. 사회경게적 특성별로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월수입이 적은 군일수록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따. 직업 상태별로는 직장을 지닌 주부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비만도와 규칙적 운동 여부별로는 비만지수가 낮은군과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군에서 보다 관련성이 높았다.

결론 : 근골격계 증상은. 신체적 요인 이외에 사회심리적 요인으로서 성격 특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향후 근골격계 증상의 다양한 원인적 요인에 따른 치료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많은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