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3;14(12):833-842.
Published online December 1, 1993.
Patients with fatigue in family practice: a pilot study for prospective study.
Ho Cheol Shin, Chang Jin Choi, Sang Wook Song, Whan Seok Choi
가정의학과 외래에 피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분석 - 전향적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 -
신호철, 최환석, 최창진, 송상욱
가톨릭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Although fatigue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aints in family practice, clinico-epidemiological research about fatigue has been minimal, because fatigue is difficult to quantify and often is viewed as a minor complaint. But there are many organic, psychosocial cause of fatigue and fatigue has many effects on quality of life, maintenance of function of patients. So we aim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ttending their physician and complaining of fatigue in this prospective study. W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standard laboratory tests and observed the change in fatigue symptom at internal over a 3 month follow up period and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n entry which predicated patients' fatigue symptoms 3 months later. We carried out this study as pilot study prior to following prospective study.

Methods : 56 patients who complained fatigue as chief complaints in family practice from January 1993 to October 1993 were included. On entry to the study pati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fatigue symptoms, demographic factor, life-style and psychometric profiles. And sereral laboratory tests includng CBC, U/A, chest X-ray, HBsAg, TFT were performed for all study participants. 3 months later, these patients were followed up with a routine visit or a telephone interview.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the student t-test, and logistc regression.

Results : Fatigue is the 6th most common symptom in family practice. Of 1165 patients 72 patients complained fatigue as main symptom, and 56 patient were recruited in the study. Men under 40 years old reported a higher rate of chronic fatigue over 6 months at entrance(80% vs 52.8%). Only 46% of chronic fatigued patients has orhanic disease and Zung's SDS score is not high in this group. 3 months later, fatigue symptom was not changed in 55% of patien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trend for thse who on entry reported symptoms of longer duration to have fatigue symptom 3 months later(OR=2.0, P<0.01).

Conclusion :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hould confirm whether those who reported symptoms of longer duration on entry has fatigue symptom for longer duration, whether the prevalence rate of fatigue is higher in men under 40 years old, whether prevalence rate of chronic fatigue is higher in women under 40 years old, and what factors affect on chronic fatigue in following prospective study.
초록
연구배경 : 피로는 1차의료영역에서 가장 흔하고 중요한 증상들중의 한가지이기는 하지만 이 피로증상에 대한 임상적, 역학적 연구는 흔하지 않다. 흔히 피로증상을 과소평가하고 작은 문제로 취급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로 피로는 여러가지 기질적, 정신적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삶의 질, 이환률, 정상적인 기능의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저자들은 1차의료영역에서 피로를 호소하는 환자들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그에 앞서 기초조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1993년 1월부터 8월까지 대학부속병원 가정의학과의 한 주치의를 방문한 초진환자들 중에서 피로를 주소로 하는 성인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내원시 설문조사 및 임상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내원 3개월 후에 전화상담을 통해 피로의 지속유무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환자의 일상생활습관, 사회인구학적인 요인, 피로의 지속기간, 우울척도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임상검사에는 기질적으로 피로를 유발시킬 수 있는 각종 질환들을 감별하기 위한 검사종목이 포함되었다. 내원 3개월 후 추적관찰은 환자의 피로증상이 지속되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치의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정해진 날자에 외래를 방문하지 않은 환자들은 역시 가정의학과 의사가 전화상담을 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중 총 1165명의 초진환자가 한 주치의를 방문하였는데 그중 72명의 환자가 피로를 주증상으로 호소하였으며 16명이 연구기간중 탈락하고 56명이 최종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전체초진환자가 호소한 증상들의 빈도순위를 보면 피로증상은 모두 72건으로 4.7%에 달해 6위에 해당하는 흔한 증상이었다. 성별, 연령별 분포를 보면 40세 미만의 남성들에게서 피로증상이 가장 흔히 나타났지만(10.4%) 6개월 이상의 만성 피로를 호소하는 경우는 오히려 40세 미만의 여성들에게 높이 나타나 피로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80%가 만성적인 피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만성적인 피로를 호소하는 환자들의 46%에서만 기질적인 질환이 진단되었고 또 이들에게서 우울성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내원후 3개월후에는 56명중 22명에서 피로증상이 호전되었으며, 피로가 지속되는 환자군에서 내원전 피로증상을 느꼈던 기간이 길게 나타났다(P<0.01), 또 나이가 많을수록, 비만할수록 피로가 지속되는 기간이 길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각각 OR=2.3, OR=1.3).

결론 : 이번 기초조사의 결과를 근거로 해서 향후 전향적 조사에서는 내원전 피로기간이 길수록 향후 피로증상이 지속되는지, 청장년층 남성에게서 피로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나는지, 중년 이전의 여성에게서 만성 피로가 흔한지, 그리고 만성적인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세부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904 View
  • 12 Download
Related article in KJFM

Graduate follow-up in family practice residency program.1993 August;14(8)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