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3;14(12):797-803.
Published online December 1, 1993.
The differnce of marriage-satisfaction score among family groups according to the family APGAR score and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In Sook Kim, Sang Hee Lee, Keun Mi Lee, Soo Young Kim, Seung Pil Jung
가족기능도지수와 적응력 및 결속력 평가척도로 분류한 가족군 사이의 결혼만족도 차이
정승필, 이근미, 이상희, 김인숙, 김수영
영남대학교의료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Family function and types can influence on family members and may be related to marriage satisfaction degree of couples. The factors related to family function and types have been studied many times, but the study concernng the degree of marriage satisfaction's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function and types is rare. This study is attempted to see the difference of marriage satisfaction score in family groups according to Family APGAR Score and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g Scale.

Methods : 67 couples answered the questionaire among 200 couples who registered at Lifelong Health Care Program of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of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April 1 to May 31, 1992.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Family APGAR Score,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ng Scale an Marriage Satisfaction Score.

Results : We compared into marriage satisfaction mean scores each group. Marriage satisfaction score is increased with high family APGAR score, balanced family type, appropriate adaptability and appropriate cohesion,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Families belong to high functional group and balanced type are showed high marriage satisfaction mean scores and marriage satisfaction sco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function and types.
초록
연구배경 : 가족기능과 가족유형은 가족을 구성하는 개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고 현대 핵가족의 중심이 되는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동안 가족기능 및 가족유형과 관련된 인자에 관한 연구가 있었지만 결혼만족도간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가족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인 가족기능도지수(Family APGAR Score)와 가족적응력 및 결속력 평가척도(FACES III)에 의해 분류된 가족군 사이의 결혼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1992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 가정의학과 평생건강관리 프로그램에 등록된 가족중 호주부부 200쌍에게 가족기능도지수와 FACES III, 결혼만족도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우편발송하여 회수된 67쌍 부부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 가족기능도지수로 가족을 세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고 가족적응력 및 결속력 평가척도로 가족 유형을 극단형 중간형 조화형으로 나누어 각군들 사이의 결혼만족도 평균점수로 비교하였는데, 결혼만족도는 가족기능도지수가 높을수록 조화유형의 가족일수록 중간 정도의 적응력이 있을수록 중간 정도의 결속력이 있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결론 : 가족기능도지수로 분류된 높은 가족기능군과 조화된 유형에 속한 가족에게서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만족도 가족기능 및 유형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었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00 View
  • 11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