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3;14(2):88-94.
Published online February 1, 1993.
A clinical study on patients presenting with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Sang Yoo Chang, Sang Won Jung, Jin Hee Chang, Jung Jin Cho
상부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정상원, 정상유, 장진희, 조정진
한일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In considerable portion of patients complaining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causes of the symptoms are not certain. This study was purpos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Methods : th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people that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for the purpose of health screening and were examined by gastrofiberoscopy or upper gastrointestine series. All subjects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8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15 factors composed of social environment, life style, diet patterns.

Results : The number of complaining symptoms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sex, diet pattern, sleep pattern, exercise, and bowel habit. The bowel habit was correlated with 7 symptoms. Sleep pattern was correlated with 6 symptoms and diet pattern was correlated with 5 symptoms. The pepticulcer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ale, diet pattern, alcoho drinking, cigarette smoking.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ptic ulcer and number of complained sympotom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symptom and peptic ulcer.

Conclusion :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were affected by sex, diet pattern, exercise, sleep pattern, and bowel habit rather than organic causes. and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management of patients presenting with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초록
연구배경 : 상부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중 많은 수에서 기질적 원인을 찾을 수가 없다. 이러한 환자에서 사회적 환경과 습관, 식생활, 기호등이 증상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2년 7월까지 한일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509명의 종합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15문항의 생활환경 및 식습관과 8문항의 상부위장관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고 이와 함께 위내시경 또는 상부위장관 방사선 촬영을 시행아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호소하는 상부위장관 증상수는 여성(P<0.05), 불규칙한 식사(P<0.001), 불충분한 수면(P<0.001), 운동을 안하는 경우(P<0.05), 불규칙한 배변 습관(P<0.001)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설문상의 15개 요인의 증상과의 관련에 있어서 불규칙한 배변습관이 7가지의 증상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불충분한 수면이 6가지의 증상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불규칙한 식사가 5가지의 증상과 관련이 있었고 여성, 운동을 안하는 경우가 3가지의 증상과 관련이 있었다. 15개의 각 요인중 남성(P<0.001), 자극적 음식섭취(P<0.05), 음주(P<0.05), 흡연(P<0.01)이 소화성 궤양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증상수는 진단결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 증상중에 진단결과와 유의한 관련을 갖는 것은 없었다.

결론 : 상부위장관 증상은 기질적 원인보다 성별이나 수면시간, 식습관, 운동부족, 배변습관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부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치료에 있어서 이러한 요인에 대한 우선적 고려가 필요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