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rrelation of between the FACES III family APGAR score. |
Sung Hi Moon, Jong Chan Jeon, Heon Kyung Oh, Hae Yeon Kim, Cheol Young Bae, Dong Hak Shin |
|
FACES 3 와 family APGAR 지수와의 연관성 |
문성희, 전종찬, 오현경, 김해연, 배철영, 신동학 |
계명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Previous numerous studies prov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mily APGAR score and FACES Ⅲ which are often used in family function test.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APGAR score and FACES Ⅲ.
Methods : This study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nswered by 204 unmarried productive part women who were engaged in a manufacturing plant at Ku-mi from August 1st to August 31th, 1992. The results were process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and analysed by mantel-Haenzel trend test.
Results : Male were 87(42.6%) and female were 117(57.4%) and mean age was 23.26(±3.13) years, most of them(198(97.0%)) were high school graduat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PGAR score and family types of FACES Ⅲ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PGAR score and Cohesion of FACES Ⅲ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PGAR socre and Adaptability of FACES Ⅲ.
Conclusion : From this tudy, we found that family APGAR score and FACES Ⅲ has close correlation each other, and this correlation depended on the Cohesion of FACES Ⅲ. |
초록 |
연구배경 : 가족기능 측정의 방법으로 흔히 이용되고 있는 family APGAR지수와 FACES Ⅲ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구미시의 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미혼의 생산직 근로자 2000명 중에서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1992년 8월1일부터 8월31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에 의거, 조사대상자 스스로 기재하는 방식을 택하였으며 통계는 SPSS 전산처리하였고 분석은 Mantel-Haenzel trend test로 하였다.
결과 : 총 204명중 남자 87명(42.6%), 여자 117명(57.4%)였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23.26(±3.13)세이고, 교육수준은 고졸이 198명(97.0%)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APGAR지수를 0-3, 4-6, 7-10점으로 나누고 FACES Ⅲ를 극단형, 중간형, 조화형으로 나누어 이들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1) APGAR 지수와 FACES Ⅲ의 결속력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으나(P<0.001), APGAR지수와 FACES Ⅲ의 적응력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family APGAR 지수와 FACES Ⅲ와는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이들 양자간의 연관성은 FACES Ⅲ의 결속력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