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alence of gallstones in Korean. |
Hye Weon Jung, Kyung Soo Chun, Young Sik Kim, Myung Hwan Kim, Hyeyoung Choi |
|
한국인 담석증의 유병률 |
김영식, 정혜원, 천경수, 김명환, 최혜영 |
울산대학교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가정의학교실 울산대학교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울산대학교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Gallstone disease is most common biliary disease, which prevalence and location has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its composition. Not all persons with gallstones have clinical manifestation, but most studies in the Korea have been based only on cases of gallstones that were identified clinically. An investigation based on clinical cases may result in an underestimation of the prevalence of GSD. Therefore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determine the Korean prevalence of cholelithiasis and related socioeconomic risk factors.
Methods : 4,395 cases whish were visited at General health screening center of Asan medical center during 9month-period from June, 1990 to March, 1991 were surveyed by abdominal USG. We divided patients into gallstone disease group and normal subject group, which former are defined by gallstone positive or postcholecystectomy due to gallstone. We assessed the sex and age related prevalence and location specific characteristic of gallstones. Age and sex distribution and demographic factor were evaluated in both groups.
Results : We experienced 165 cases of GSD in 4,395 cases examined(139 cases of Gallstone, 27 cases of postcholecystectomy). Total age adjusted prevalence is 3.43%, 3.70%(95% CI 3.14~4.26) of femal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2.08%(95% CI 1.66~2.50)of male. The prevalence of GSD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ing age with a significant linear trend. GB stone is most common location and relative frequency is 92.08%. Comparison with normal group, obesity is significantly higher in GSD group (P<0.05).
Conclusion : Age adjusted prevalence of GSD in Korea is suspected which 2.08% of male and 3.70% of female. |
초록 |
연구배경 : 담석증은 담도계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담석의 성분에 따라서 발생빈도 및 발생위치등에 있어 매우 다른 역학적 특징이 있고, 대부분은 증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담석증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임상증례에 한정되어 있고 일반인을 대상으로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저자들은 한국인 담석증의 유병률과 이에 관련된 사회경제적 관련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0년 6월부터 1991년 3월까지 서울중앙병원 종합건강진단센터를 내원한 4,395명의 건강검진 환자를 대상으로 상복부 초음파를 실시하여 현재 담석이 있는 환자와 과거 담석에 의한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분류하여 담석질환으로 정리하고, 담석질환자들의 성별, 연령별 유병률과 담석의 위치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담석질환자와 정상인간의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 4,395명중 담석질환은 165명(담석증 139명, 담석절제술 27명)으로 전체 연령 표준화 유병률은 3.43%이고, 이중 남자가 2.08%(95%신뢰구간 1.66~2.50), 여자가 3.70%(95%신뢰구간 3.14~4.26)로서 여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담석증에서 담낭결석이 가장 흔한 위치로 92.08%의 상대빈도를 보였으며 정상군과의 비교에서 비만이 담석증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 한국인 담석질환의 연령표준화 유병률은 남자가 2.08%, 여자가 3.70%로 추정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