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2;13(1):57-62.
Published online January 1, 1992.
Clinical observation of delirium tremens.
Youhyun Cho, Myungchai Kwak, Joonsuck Song, Songhak Hong, Joungtaik Oh, Honghyou Cho, Dongchan Jin, Duhyok Choi
진전섬망의 임상적 고찰
조유현, 곽명재, 송준석, 홍승학, 오정택, 조홍휴, 진동찬, 최두혁
의정부 신천병원 가정의학과 의정부 신천병원 내과
Abstract
Background
: Delirium tremens is alcoholic withdrawal symptom that developed with psychiatric disorder and epilepsy. Delirium tremens is prevalent in rural area of the country and social problem. There is psychiatric approach of the disease reported, but medical and biochemical approach is rare. Therefore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biochemical change and delirium tremens.

Methods : 55 delirium tremens cases, classified by DSM Ⅲ criteria were gather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85 to June, 1990. Data were analyzed on epidemiologic status such as withdrawal period, maintenance time, other withdrawal symptoms, laboratory exam, liver function change in epilepsy and mortality cases.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abstinence and severity of the diseases in DSM-Ⅲ classification. Most of patients presented with typical symptoms and signs of delirium tremens, the symptom of the disease were agitated behavior(95%), delusion, ALT over 100 IU/L was seen in 71% of the seizure patients. Severity of the disease was not related to mortality.

Conclusion : There was no laboratory marker of delirium tremens ; the increased ratio of ALT / AST and increase of r-GTP, which are frequently seen in alcoholic liver disease are thought to suggest the presence of delirium tremens.
초록
연구배경 : 진전섬망은 알코올 금단증상으로 간질발작과 정신활동의 장애를 동반하여 발생된다. 진전섬망은 우리나라 농촌지역 사회와 사회적 문제상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정신과적인 접근만 시도되어 왔으며 기질적인 병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기질적인 변화가 진전섬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에 대한 처치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1985년 4월부터 1990년 6월까지 본 병원에 입원된 DSM-Ⅲ의 범주에 있는 진전섬망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금단기간, 지속기간, 다른 금단증상, 임상병리검사, 간질발작 유무에 따른 간기능 수치의 변화, 사망 예를 진전섬망 환자에게서 분석하였다.

결과 : 진전섬망의 금단기간, 지속기간, 임상병리검사의 각 수치와 DSM-Ⅲ의 증상에 따른 심한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섬망 이외의 금단증상으로는 흥분된 행동이 95%로 가장 많았다. 진전섬망 환자 중 간질발작을 동반한 예에서는 ALT 100이상 상승한 예가 71%에 이른다. 임상증상의 심한 정도와 사망률과는 관계가 없었다.

결론 : 진전섬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임상병리학적 지표는 없었으나 ALT, AST의 비와 rGTP에 의한 알코올성 간염의 진단이 간접적인 지표로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