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8;29(8):604-611.
Published online August 10, 2008.
Degree of Compliance with Polypharmacy and Its Influential Factors in Rural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South Korea.
Mee Ok Kim, Jong Hee Kim, Ji Eun Kim, Bo Ram Park, Joong Won Lee, Hae Goo Park, Hyun Jin Son, Kee Weon Shin, Dae Gyun Kim
1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oul, Korea.
3Department of Prevented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4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5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loves@lycos.co.kr
일개 농촌지역 만성 질환 노인환자들의 다제복용(Polypharmacy)에 따른 복약 순응도 및 그 영향요인
김미옥,김종희,김지은,박보람,이중원,박해구,손현진,신기원,김대균
1
2
3
4
5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necessity of a control program developed to improve compliance, by conducting a research on the status of medication compliance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in rural area and analyzing the related variables. Methods: The organized questionnaire and pill-count were used to collect information on personal details, physical status, drugs taken in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suffering from more than two chronic diseases in one rural area.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3.13±6.36 (65∼93), and the number of the subjects in compliance group was 60 (77.9%) and the accuracy of self-report which was identified by pill-count was 0.86. Polypharmacy and visiting several clinics were the main factors that decided a low- degree of compliance, with OR of 5.92 (95% CI 1.11∼31.44, P=0.037), and 4.25 (95% CI 1.03∼17.53, P=0.045), respectively. Conclusion: Systematic efforts are necessary and plans must be established without delay to increase compliance in the elderly in the rural, expansively to manage chronic diseases in stay-at-home elders. (J Korean Acad Fam Med 2008;29:604-611)
Key Words: compliance, polypharmacy, elderly, pill-count
초록
연구배경: 이번 연구는 농촌 지역 거주 만성질환 노인들의 다제복용에 따른 약물순응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서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관리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일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2개 이상의 만성질환에 이환되어 있으며 연구 당시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자기보고 방법을 통해 인적사항 및 건강상태, 현재 복용중인 치료약물에 대한 사항을 조사하고 자가보고한 순응도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예고 없이 환자의 집을 방문하여 약의 알 수를 세는 방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순응의 정의는 처방된 약물의 80% 이상 복용으로 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73.13±6.36 (65∼93)세이었으며 순응군 60명(77.9%), 비순응군 17명(22.1%)으로 분류되었으며 약 알 수 세기 방법을 통해 확인된 자가보고의 정확도는 0.86이었다.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변수들을 가지고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인적 요인 중 만성질환의 종류가 많은 경우(P=0.025), 변경요인 중 복약지도를 받지 못한 경우(P=0.001) 비순응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복약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실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다제복용과 여러 의료기관에서 약을 처방받는 행태가 낮은 순응도를 결정하는 요인이었으며 각각의 교차비는 5.92 (95% CI 1.11∼31.44, P=0.037)과 4.25 (95% CI 1.03∼17.53, P=0.045)였다. 결론: 만성질환이 증가하는 최근의 추세를 고려할 때 노인환자의 건강 문제에 있어 다제복용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농어촌 지역 등의 경우 만성질환 관리 및 재가 노인 환자 관리의 포괄적 서비스 차원에서 복약 순응도를 높일 방안이 시급하다.
중심 단어: 순응도, 다제복용, 노인, 자가보고, 약 알 세기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