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8;29(4):259-268.
Published online April 10, 2008.
Association between Obesity in Adolescence and Family Function.
Jin Kyoung Kim, Yun Mi Song, Sun Young Kim, Ji In Chu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 yunmisong@skku.edu
청소년 비만과 가족기능 간의 연관성
김진경,송윤미,김선영,정지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development and poor family function was controversial in previous studies and has been seldom evaluated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A questionnaire asking family function (family APGAR, Korean family function assessment tool for adolescents),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was self-administered to 1,056 adolescents enrolled in a Korean middle school. A total of 774 adolesc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oroughly and had no diseases influencing family function were included. After calculating body mass index (BMI) using the data of physical measurement at school, we classified participants into overweight-obesity (upper 15%) and normal weight group (lower 85%) based on the reference data of Korean childrens' BMI distribution (Korean pediatric society, 1998). Results: The prevalence of overweight-obesity was 13.0% (14.8% among boys and 10.9% among girls). Multivariable-adjus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overweight-obesity was associated with better family function, higher school grade, fattier body shape of mother, and lower educational level of mother. Gender- specifically, overweight-obesity was associated with better family functioning and higher school grade with odds ratios (95% confidence interval) of 2.36 (1.13, 5.55) and 2.59 (1.36, 4.93), respectively, in boys, whereas only those who were not living with both parents were 2.67 (1.09∼6.54) times more likely to be overweight or obese among girls. Conclusi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verweight- obesity differed by gender and the family function of overweight-obesity group was better than normal weight group, especially in boys. These findings suggest poor family function is neither the cause nor the result of obesity development in adolesc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8;29:259-268)
Key Words: adolescent, body mass index, family relations, Korea, obesity, overweight
초록
연구배경: 가족기능 장애와 비만 발생 간의 연관성에 관한 이전 연구들은 명료한 결과를 얻지 못했고, 한국에서는 성인에 국한되어 드물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에서 비만과 가족기능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2006년 11월에 임의로 선정한 중학교 재학 중인 1,056명의 청소년에게 한국형 가족기능 평가도구(청소년용), 국문으로 번역된 가족기능지수(Family APGAR), 사회경제적 가정 환경, 생활 습관을 묻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여, 충실히 응답하였고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칠 병력이 없는 774명(남자 425, 여자 349)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학교 신체 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체질량지수가 한국 청소년. 소아의 성.연령별 체질량지수 기준표(1998년)의 85백분위수 이상에 해당하면 비만군, 그 외는 정상 체중군으로 분류하였다. 다중 로짓 회귀분석으로 단변수 검정에서 경계적 유의성 이상의 통계적 연관성이 있었던 요인을 보정한 후, 비만과 가족기능간의 독립적인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774명의 13.0%, 남자 중 14.8%, 여자 중 10.9%가 비만군에 속하였다. 다중 로짓 회귀분석 결과 연구대상자 전체에서는 가족기능이 좋고, 어머니의 체형이 더 비만하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낮고, 학년이 높은 경우 비만군에 속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로는 남학생은 가족기능이 좋고(교차비 2.36, 95% 신뢰구간: 1.13~4.91), 학년이 높은 경우(교차비 2.59, 95% 신뢰구간: 1.36~4.93), 여학생은 부모 모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교차비 2.67, 95% 신뢰구간: 1.09~6.54) 비만군에 속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한국 청소년에서 비만과 연관된 요인들은 남녀별로 다르게 관찰되었고 비만군의 가족기능이 정상 체중군보다 더 좋았다. 이는 가족기능이 청소년 비만의 원인이나 결과임을 지지하지 않는 결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 청소년, 체질량지수, 가족 관계, 한국, 과체중, 비만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