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eration of Circadian Diurnal Rhythms of Cardiovascular Parameters by Night Shift Work in 3 Shift Nurses. |
Yun Jae Jung, Eun Ju Sa, Mi Na Kim, Dong Uk Lee, Ki Heum Park, Nak Jin Sung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yeongju, Korea. snj@dongguk.ac.kr |
3교대근무 간호사들에서 야간교대근무로 인한 심혈관계 지표들의 일중변동 양상 |
정연재,사은주,김미나,이동욱,박기흠,성낙진 |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There are incoherent studies about the effect of night shift work on circadian diurnal rhythms of cardiovascular parameters. Our study aimed to assess the alteration of circadian diurnal rhythms of cardiovascular parameters by night shift work. Methods: We studied 26 healthy nurse volunteers engaged in 3 shift work. From March 16 to April 30, 2006, ABPM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was performed to each nurse two times during the day and night shift. Three nurses were excluded due to pain omdiced by ABPM.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as monitored every 30 minutes. Paired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an arterial pressure, the mean systolic pressure, the mean heart rate and the mean pulse pressure during the overall peri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ight shift than the day shift (P-value: <0.05, <0.001, <0.05, and <0.001, respectively). The mean arterial pressure, the mean diastolic pressure and the mean heart rate during in-hospital working peri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ay shift (P-value: <0.05, <0.001, and <0.05, respectively). All parameters during the daytime sleep period after the night shif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during the nighttime sleep period after the day shift (P-values: <0.001). Proportional percentile falls of 3 parameters (systolic pressure, diastolic pressure, and heart rate) during the daytime sleep period after the night shift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during the nighttime sleep period after the day shift (P-values: <0.001). Conclusion: The night shift work caused significant alteration in homeostasi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ssociated with circadian diurnal rhythms of cardiovascular parameters. (J Korean Acad Fam Med 2007;28: 187-194) |
Key Words: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Circadian rhythm, Shift work, Autonomic nervous system |
초록 |
연구배경: 심혈관계 지표들의 일중변동에 있어 야간교대근무 영향을 다룬 여러 연구들이 있지만 일관성 없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방법: 우리는 3교대근무를 하는 26명의 건강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고, 이 중에서 3명의 간호사는 활동혈압측정 중 통증으로 인해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2006년 3월 16일부터 4월 30일까지 검증된 활동혈압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주간근무일정과 야간근무일정 각각에서 근무시간대와 수면시간대에 활동혈압측정을 시행하였다. 혈압과 심박수는 매 30분마다 활동혈압 측정장치에 의해 기록되었다. 총 23명의 대상자가 연구를 종료하였고 통계기법으로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시간대 평균동맥압의 평균, 수축기 혈압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 맥압의 평균은 주간교대근무시에 비해 야간교대근무 시에 유의하게 높았다(각각의 P값: <0.05, <0.001, <0.05, <0.001). 병원 근무시간대에서의 평균 동맥압의 평균, 이완기 혈압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은 주간교대근무 시에 유의하게 높았다(각각의 P값: <0.05, <0.001, <0.05). 모든 지표는 주간교대근무 후 야간수면시간대보다 야간교대근무 후 주간수면시간대에 유의하게 높았다(P값 모두 <0.001). 3가지 지표(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심박수)의 수면시간대 하강 정도는 야간교대근무 후 주간수면시간대에서 주간교대근무 후 야간수면시간대에서보다 유의하게 적었다(P값 모두 <0.001). 결론: 야간교대근무는 심혈관계 지표의 일중변동과 관련된 자율신경계 항상성 유지반응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하며 향후 심혈관계에 위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중심 단어:
활동혈압측정, 일중변동, 교대근무, 자율신경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