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5;16(9):646-654.
Published online September 1, 1995.
Comparison analyeis of cytobrush and dry cotton swab methods on papanicolaou smear.
Dong Young Cho, Byung Yeon Yu, Jeong A Park, Hee Young Lee, Dong Won Yoon, In Sung Lee
자궁경부 도말검사상 세포진 브러쉬와 건조면봉 사용에 따른 결과 비교분석
조동영, 유병연, 박정아, 이희영, 윤동원, 이인성
연세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서울내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병리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Papanicolaou smear adequacy is directly related to endocervical edll discovery, and therefore can improve the value of the Papanicolaou smear as a cancer screening test. One of the pruposes of this study is to assess capture rate of endocervical element of the current Pap smear method in Korea which is performed by using only dry cotton swab. The other purpose is to compare effectiveness of cytobrush cell collector when performing Pap smear.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333 patients visiting Family medicine outpatient department at Konkuk University Medical College Hospital to take Pap smear test from March 3, 1994 to July 12, 1994. The both dry cotton swab and cytobrush cell collector were used to collect specimen for each of total 333 patients.

Results : The endocervical cell capture rate was 37.2% for dry cotton swab, 73.0% for cytobrush. The difference of endocervical cell capture rates among two method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higher number of atypical epithelial changes was found in smears with endocervical cells than in smears without endocervical epithelial changes was found in smears with endocervical cells than in smears without endocervical columnar cells. Thus, the chance of missing an abnormal epithelial change is increased in smears without endocervical columnar cells irrespective of instruments. The use of the cytobrush incresased the number of smears that contained endocervical cells for reproductive age and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 : The use of cytobrush is considered a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collection of endocervical cells compared with dry cotton swab, and the chance of detecting an abnormal epithelial change is increased in smears with endocervical cells.
초록
연구배경 : 자궁경부도말검사 검체가 검사에 적합한 지의 여부는 검체내에 자궁경관내막세포가 존재하여야 하며, 그럼으로써 자궁경부도말검사의 위음성을 낮출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시행되는 건조면봉에 의한 자궁경부세포 검사방법에 의하여 얼마나 많은 경우에 경관내막세포가 채취되는가를 조사하면서, 동시에 세포진 브러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어느 방법이 경관내막세포 채취에 표과적인가를 조사해 보았다.

방법 : 본 연구는 1994년 5월 3일부터 1994년 7월 12일까지 건국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여 두명의 가정의학과 전공의에 의하여 자궁경부세포진 검사를 위한 Papanicolaou도말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조사대상자 총 333명 각각을 동시에 건조면봉과 세포진 브러쉬 두 방법을 사용하여 도말검체를 얻었다.

결과 :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0.8세 였으며(표준편차±9.1), 도말검체 채취방법에 따른 자궁경관내막세포 채취율은 건조면봉이 37.2%, 세포진 브러쉬가 73.0%로서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x²=73.2, P<0.05) 경관내막세포 유무에 따른 세포병리 검사결과 비교에서는 경관내막세포 존재시 class Ⅱ이상의 비정상소견을 보이는 율이 증가되었다(비교위험도 2.5). 검체 채취방법을 따른 세포병리검사결과 비교에서는 건조면봉보다 세포진브러쉬 사용이 높은 이상소견 발견율을 보였다(비교위험도 2.5). 연령군별로 비교해보면 가임연령기와 폐경후기 모두 세포진 브러쉬가 경관내막세포 채취율이 높았다(가임연령기 x²=35.1 P<0.05, 폐경후기 x²=71.0 P<0.05). 검사순서별로 비교해보면 세포진 브러쉬는 검사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건조면봉은 세포진 브러쉬 후 건조면봉으로 검사했을때 높은 자궁경관내막세포 채취율을 보였다(비교위험도 1.5).

결론 : 세포진 브러쉬를 사용하여 도말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이 건조면봉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경관내막세포 채취시 보다 효과적이며, 경관내막세포 존재시 비정상소견 발견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915 View
  • 8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