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6;27(11):883-888.
Published online November 10, 2006.
Analysis of Family Practice Academic Dissertations.
Ki Hoon Ha, Chul Won Jang, Jae Wook Jeong, Dong Uk Lee, Ki Heum Park, Nak Jin Su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yeongju, Korea. snj@dongguk.ac.kr
가정의학 전공 학위논문 분석
하기훈,장철원,정재욱,이동욱,박기흠,성낙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Family practice academic dissertations are the product of family practice research in the school of medicine. This paper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status of family practice academic dissertations, analyze the basic data and suggest directions for family practice research in the school of medicine.

Methods : The total number of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1992 to February, 2005 was 124. of those, 120 were collected.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area, subjects, collected data, methodology, and statistical methods.

Results : In terms of research area,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was the most common (42.5%). For study subjects, out-patients and in-hospital patients were the most prevalent (38.0%), followed by health promotion center visitors and community residents (28.7%). When it came to research methodology, analytic study was the most common by a wide margin (70.8%). Among analytic studies, cross-sectional studies we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case-control studies and cohort studies. The most commonly-used data were medical records and questionnaires.

Conclusion : Many advances have been made in research methodology and academic dissertation numbers since 1992. Many research topics, however, were not relevant to primary care. Much research was done in general hospital instead of primary-care facilities. These results must improve in the future.
Key Words: family practice, academic dissertation, research subjects, methodology
초록
연구배경 : 가정의학 학위논문은 의학과 대학원에서의 가정의학 연구의 결과물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가정의학 학위 논문의 실태를 조사하고 여러 분류 기준에 의해 분류함으로써 의학과 대학원에서의 가정의학 연구의 주제나 연구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가정의학 학위논문이 처음 발표된 1992년부터 2005년 2월까지 발표된 가정의학 전공 석, 박사 학위논문 124편중 수집이 가능했던 120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연구분야, 연구대상, 자료수집의 방법, 연구방법, 통계기법에 따라 하였다. 기간은 5년 단위로 하여 석, 박사 학위를 따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결과 : 연구분야는 보건/건강 관리가 51편(42.5%)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은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41편(38.0%), 건강검진고객, 지역사회주민이 각각 31편(28.7%)이었다. 연구방법에서는 분석적 연구가 85편(70.8%)으로 가장 많았다. 분석적 연구 중에서는 단면 연구, 환자 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 순으로 많았다. 자료 수집방법은 대부분 설문 조사 및 의무 기록을 통해 이루어졌고, 통계 기법은 카이 제곱검정, t 검정, 회귀분석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결론 : 의학과 대학원 가정의학 전공 학위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정의학의 관심사인 보건관리 분야에서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연구 방법에서는 좀 더 통계적 검증력이 있는 환자-대조군 연구와 코호트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차의료와 관련성이 적은 내용을 다룬 실험실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연구방법에서 연구 기간이 짧고 연구 대상의 수가 적은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중심 단어: 가정의학, 학위논문, 연구 분야, 연구 방법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