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ceral Abdominal Fat as a Determinant of Arterial Stiffnes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
Ji Weon Lee, Hye Ree Lee, Jaeyong Shim, Sang Hwan Kim, Jee Aee Im, Duk Chul Lee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gdong Severance Hospital, Korea. faith@yumc.yonsei.ac.kr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Eulji University, Korea. 3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MizMedi Hospital, Seoul, Korea. |
과체중, 비만한 여성에서 컴퓨터단층촬영으로 측정된 복부내장비만과 동맥 경직도의 관련성 |
이지원,이혜리,심재용,김상환,임지애,이덕철 |
1 2 3 |
|
|
Abstract |
Background : Increased abdominal obesity is clearly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eases and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atheroscle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But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associations are not complete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rrelate the regional body composition with pulse wave velocity in the overweight and obese women.
Methods : We investigated 104 overweight and obese participants. Regional body composition was distinguished by anthropometr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computed tomography (CT). For estimates of arterial stiffness, we measured brachial 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Fasting blood glucose, lipid parameters, CRP, and free fatty acid were measur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aPWV and regional body composition.
Results : Average age, fasting blood sugar, HDL-cholesterol, triglyceride, HOMA-IR, abdominal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CT, visceral fat area/ subcutaneous fat area (VSR), and visceral fat area/midthigh muscle area (VMR)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isceral obesity group than the subcutaneous obesity group. BaPWV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blood pressure, triglyceride, waist circumference, waist hip ratio, abdominal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CT, and VSR and inversely correlated with thigh subcutaneous fat area.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ing factors, baPWV was independently correlated with abdominal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CT (R2=0.560, P=0.006).
Conclusion : Abdominal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CT was the only measurement positively associated with baPWV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of regional body composition and arterial stiffness. |
Key Words: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regional body composition, visceral obesity |
초록 |
연구배경 : 복부 비만은 여러 대사 질환과 동맥경화증을 비롯한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몇몇 연구에서는 체성분이 동맥의 경직도를 결정하는 결정인자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체중, 비만한 여성에서 이중 에너지 방사선 측정과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측정된 체구성과 동맥의 경직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과체중, 비만한 성인 여성 109명의 신체 계측 및 이중 에너지 방사선 측정과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체구성을 측정하였으며 상완-발목 맥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공복 혈당, 혈중 지질 검사, C반응단백,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을 검사하였다. 신체계측 및 체구성과 상완-발목 맥파 속도와의 상관성을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내장지방군과 피하지방군은 나이, 공복혈당, 고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OMA-IR,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측정된 내장지방 면적과 복부내장지방/복부피하지방의 비, 복부내장지방/대퇴부 골격근육비, 상완-발목 맥파 속도의 차이가 있었다.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나이, 혈압, 중성지방,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둘레비,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측정된 내장지방 면적, 복부내장지방/복부피하지방의 비, 복부내장지방/대퇴부 근육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퇴부 피하지방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측정된 내장지방 면적과 독립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과체중, 비만한 여성에서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복부내장지방 면적과 연관이 있으며, 이는 체구성과 동맥의 경직도와의 관련성을 의미한다. 향후 이들의 병태생리적 기전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중심 단어:
상완-발목 맥파 속도, 체성분 구성, 내장비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