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6;17(6):454-461.
Published online June 1, 1996.
Related Faotor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iochemical markers in adult women.
Han Jin Oh, Jang Kyun Oh, Hong Seo Park, Seon Yul Kim, Eung Su Kim
성인여성에서 골밀도와 생화학적 지표에 관련된 요인
오한진, 오장균, 박홍서, 김선열, 김응수
고려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The loss of bone mass is increased with aging and is accelerated in menopausal women, so that they would be exposed to the risk of osteoporosis. Thus, for the detection and early management of osteoporosis, authors have investigated about the variation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biochemical markers (ostseocalcin, deoxypyridinoline, alkaline phosphatase)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age, menopause, duration after menopause, and body mass index in premeno-pause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es: We have evaluated bone mineral density and biochemical markers of 208 premenopau-sal(cases 29) and postmenopausal(cases 179) women out of total 1,037 women who had visited Health Screening Center in Tae Jeon Sun General Hospital from July 1994 to May 1995.

Results :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55.6 years and the mean age of menopause women was 48.4 year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level and age (p<0.001). Also, menopaus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elated with not only bone mineral density level but biochemical markers level(P<0.001). Postmenopausal period and body mass index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ne mineral density respectively(P<0.001).
In viewing their correlations, bone mineral density had adverse correlations with factors such as age, menopause, postmenopausal period and biochemical markers(P<0.001), and menopause had correlations with Alkaline Phosphatase and Osteocalcin(P<0.001).

Conclusion :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we have concluded it would be helpful for the detection and early management to carry out further studies about factors which have influences on bone metabolism, bone mineral density, and biochemical markers.
초록
연구배경 : 연령이 증가하면서 골 소실이 증가하고, 특히 여성들에서는 폐경 이후에 골소실이 가속화되어 많은 여성들이 골다공증의 위험에 노출된다. 이에 저자들은 골다공증의 예방과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성인여성에서의 연령, 폐경 유무, 폐경 기간 및 체질량 지수등의 인자들에 따른 고밀도와 골형성과 골흡수에 관련이 있는 생화학적 지표들(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 and Deoxypyridinoline)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방법 : 1994년 7월부터 1995년 5월까지 대전 선병원 종합검진센터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한 1,037명의 여성 중에서 검사 미비자, 골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분비 질환을 지녔거나 약물을 복용한 여성 또는 자궁 및 난소 적출술을 시행한 여성 829명을 제외한 폐경 전 여성 29명과 자연적으로 폐경된 여성 179명, 총 208명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생화학적 지표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55.6세이었고, 평균 폐경 연령은 48.4세였다. 연령과 골밀도 및 생화학적 지표들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폐경 유무 역시 골밀도와 생화학적 지표들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폐경 기간도 골밀도와 일부 생화학적 지표들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체질량 지수와 골밀도와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상관관계를 본 결과, 골밀도는 연령, 폐령기간, 폐경 유무 및 생화학적 지표들과 역(逆)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폐경 유무는 Alkaline Phosphatase 및 Osteocalcin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결론 : 연령, 폐경 유무, 폐경 기간 그리고 비만도는 골밀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고, 일부 생화학적 지표와도 관련성이 있었다. 앞으로 폐경 전후 여성에서의 골대사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및 골소실을 검사할 수 있는 골밀도 및 생화학적 지표들에 대해서 보다 많은 연구를 함으로써 골다공증의 진단과 조기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