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6;27(8):652-658.
Published online August 10, 2006.
Effect of Spousal Support on Smoking Cessation Outcome of Self-quitters.
Eal Whan Par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ewpark@kornet.net
자가 금연 시도자에서 배우자 지지 특성에 따른 금연 결과의 비교
박일환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Positive spousal suppor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In this study, interaction behaviors of spouses for smoking cessation and association of characteristics of spousal relationship with smoking cessation outcome was assessed.

Methods : Self-quitters who visited a family medicine clinic or a health promotion center were inquired on their smoking statu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by using the PIQ (partner interaction questionnaire). In a follow-up period of 3 and 6 months, current smoking status of each patient was assessed again by telephone.

Results : The smoking cessation rate among the subjects was 14.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ccessful quitters group and the failed group in age and smoking years (P<0.05). For the mean PIQ scores based on 71 persons, the mean total PIQ score was 42.9 (SD 12.8), the mean positive PIQ score was 18.8 (SD 7.7), and the mean negative score was 24.1 (SD 6.9). We analyzed the association of PIQ scores with continuous abstinence at 3- and 6-month follow-ups.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behaviors and abstinence at 3 and 6 months. Also,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negative score ratio and continuous abstinence at 3 and 6 months.

Conclusion : The self quitters' partners were fairly interactive, but more of the interactions were negative in nature. Our data suggest that frequency of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uccess rate of smoking cessation at 3- and 6-month follow-up periods.
Key Words: self-quitter, smoking cessation, social support, spouses
초록
연구배경 : 배우자의 긍정적 표현의 지지는 금연에 성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고려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자가 금연 시도자에서 금연 성공과 연관성이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 금연에 대한 배우자의 지지 특성과 금연 결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가정의학과 외래와 종합건강진단 센터를 방문하여 스스로 금연 시도를 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흡연 상태 및 배우자 상호작용 평가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고, 금연시도 후 3개월, 6개월 시점에서 금연 유지 상태를 전화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연구에 참여한 89명의 환자 중 77명이 평가 설문지를 완성하였고, 이 중 71명의 환자에서 6개월 추구 확인이 이루어졌다. 자가 금연 시도자에서 6개월 금연 성공률은 14.1%였다. 6개월 금연 성공군에서 실패군에 비하여 연령과 흡연 연수가 의미있게 높았고(P<0.05), 하루 흡연량, 기초 호기 CO량, 금연실천 자신감, 금단증상 점수 등에서는 양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배우자 지지 점수는 총 점수 42.9점(표준편차 12.8점), 긍정적 표현의 지지 점수는 평균 18.8점(표준편차 7.7점), 부정적 표현의 지지 점수는 평균 24.1점(표준편차 6.9점)이었다. 배우자 상호작용 점수(긍정적 표현의 지지 점수, 부정적 표현의 지지 점수, 긍정적/부정적 표현의 지지 점수 비)는 3개월, 6개월 시점에서의 금연 유지 여부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연관성은 없었다(P>0.05).

결론 : 자가 금연 시도자에서의 금연 성공률은 강한 동기유발 상태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낮았다. 자가 금연 시도자의 배우자의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표현의 반응이 많았고, 긍정적, 부정적 표현의 배우자 반응의 빈도와 3월 및 6개월 시점에서의 금연 유지 여부와는 의미 있는 연관성이 없었다.
중심 단어: 자가금연 시도자, 금연, 사회적 지지, 배우자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