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6;27(6):481-487.
Published online June 10, 2006.
BMI-related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and Predictors of Bone Loss.
Il Woo Joo, Yeol Soo Park, Kyung Soo Kim, Han Jin Oh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hei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 doctor4u@intizen.com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노인 여성에서 체질량 지수에 따른 골밀도 변화 및 관련 인자 분석
주일우,박열수,김경수,오한진
1
2
Abstract
Background
: Osteoporosis and hyperlipidemia in postmenopausal women may develop due to a sudden decrease of estrogen. In general, women over 60, about 10 years after menopause, are at risk of continuous bone loss. However, many reports reveal that high body weight may have a preventive effect on bone loss.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on bone loss in aged Korean wom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on bone loss in aged Korean women.

Methods : We evaluated 510 women aged over 60 who visited a health care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4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ody mass index on bone mineral density in aged Korean women. We measured anthropometrical characteristics, BMD of lumbar spine, markers of bone turnover, and FSH of the subjects.

Results : The higher body mass index, the greater BMD at lumbar spine. But the levels of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 and deoxypyridinolin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SH level was also low in the high body mass index group. The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 (P<0.01) by Pearson's correlation matrix. The total alkaline phosphatase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MD. The levels of FSH had negative correlation (P<0.01) with BMD.

Conclusion : Higher body mass index groups showed higher BMD with lower FSH levels. Further prospective studies considering the endocrinologic association with body weight, BMD and FSH level will be needed.
Key Words: obesity, BMI, BMD, aged women, FSH
초록
연구배경 : 폐경 후 여성은 급격한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골다공증 및 지질 대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폐경 후 10년 이상이 지난 60세 이상의 여성에서는 일련의 과정으로 골밀도의 감소가 예상된다. 체중의 증가는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노인 여성에서의 비만의 정도와 골밀도의 관계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우리나라 노인 여성에서 체질량 지수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소재 일개대학병원 갱년기 클리닉에 내원한 6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네 군으로 구분하여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대상자들의 체격과 지질대사 및 골대사를 측정하였으며, 여성호르몬에 의해 음성되먹이기 반응이 나타나는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과 : 체질량 지수가 높은 군에서 요추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골대사 지표인 총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과 deoxypyridinoline은 체질량 지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SH의 혈중 농도는 체질량 지수가 높은 군에서(P<0.0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독립변수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후의 Pearson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골밀도와 체질량 지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P<0.001) 나타냈으며, 총 alkaline phosphatase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P<0.001) 보였다. 그러나 FSH는 골밀도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단계 다중 회귀분석 결과 노인 여성에서 체질량 지수와 alkaline phosphatase가 골밀도의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 체질량 지수가 높은 군에서 혈중의 FSH 농도가 낮으며 골밀도가 높게 나타나 이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정확한 이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체지방과 FSH, 골대사 지표와의 관계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 노인여성, 골밀도, 비만, 체질량지수,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