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4;25(10):740-745.
Published online October 10,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Waist Circumference/Height Ratio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Obese Females.
Seok Won Kim, Jae Hyeon Kwon, Jung Geum Yoon, Hyuck Ki Lee, Keun Mi Lee, Seung Pil Ju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Korea. spjung@med.yu.ac.kr
성인 비만 여성에서 허리둘레/신장비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사이의 연관성
김석원,권재현,윤정금,이혁기,이근미,정승필
영남대학교의료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CV) risk factors according to waist-to- height ratio (W/Ht ratio) in adult obese women to ensure the importance of abdominal obesity and determined the usefulness of W/Ht ratio as a index of abdominal obesity in adult obese women.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190 adult obese women who visited an obesity clinic from August, 2001 to Januar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BMI<30, W/Ht<0.6, Group 2; BMI<30, W/Ht≥0.6, Group 3; BMI≥30, W/Ht<0.6, and Group 4; BMI≥30, W/Ht≥0.6. In each group, we compared the prevalence and odds ratio for CV risk factors.

Results : In obese group, the prevalence of high blood glucose (P<0.01), hypertriglyceridemia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than group 1. In high obese group, the prevalence of systolic hypertension (P<0.01), high blood glucose (P<0.01), hypercholesterolemia (P<0.01), hypertriglyceridemia (P<0.05), and high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4 than group 3. When odds ratio for each group with reference to group 1 were compared after adjusting for age, high blood glucose (4.48), and hypertriglyceridemia (6.10) in group 2, and systolic hypertension (2.69), high blood glucose (3.02), and hypertriglyceridemia (4.00) in group 4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CV risk factors were likely to be increased in higher W/Ht group independently to BMI. W/Ht ratio can be a simple, useful index for abdominal obesity and its related risk factors not only in adult males but also in adult obese women.
Key Words: adult obese female, body mass index, centr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height ratio,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초록
연구배경 : 성인 비만 여성에서 허리둘레/신장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의 유병률을 평가하여 복부비만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성인 비만 여성에서 복부비만의 지표로서 허리둘레/신장비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8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일개대학병원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성인 비만 여성 환자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장, 체중, 허리둘레, 혈압, 공복혈당, 혈청 지질대사치, 체성분검사를 측정하였고 대상자를 1군; 체질량지수 <30, 허리둘레/신장비<0.6, 2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0.6, 3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 <0.6, 4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0.6의 네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 허리둘레/신장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의 차이와 제1군을 기준으로 한 교차곱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은 1군에 비해 2군에서 고혈당(P<0.01), 고중성지방혈증(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3군에 비해 4군에서 수축기고혈압(P<0.01), 고혈당(P<0.01), 고콜레스테롤혈증(P<0.01), 고중성지방혈증(P<0.05), 위험범위의 저밀도 지단백 (P<0.05)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군을 기준으로 하여 연령을 보정한 각 군에서의 교차비는 2군에서는 고혈당(4.48), 고중성지방혈증(6.10), 4군에서는 수축기고혈압(2.69), 고혈당(3.02), 고중성지방혈증(4.00)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허리둘레/신장비는 성인 남성에서뿐만 아니라 성인 비만 여성에서도 간편하고 실용적인 복부비만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체질량 지수와 상관없이 허리둘레/신장비가 높은 경우에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의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관련 질환들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중심 단어: 성인비만여성, 체질량 지수, 복부 비만, 허리둘레/신장비,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