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4;25(4):307-313.
Published online April 10, 2004.
The Usefulness of Waist/Height Ratio as an Obesity Index.
Jung Soo Byun, Min Jun Kim, Ye Won Hwang, Myung Jin Kim, Soo Young Kim, In Hong Hwa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Seoul, Korea. pclove@hallym.or.kr
허리둘레/키 비의 비만지표로서의 유용성
변정수,김민준,황예원,김명진,김수영,황인홍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동성심병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Waist circumference and BMI have been known as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But some people with a normal BMI or normal waist circumference may hav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mplicity and the usefulness of waist/height ratio as an index of obesity and to investigate the waist/height ratio as a predictor for metabolic risks in individuals with normal weight and/or normal waist circumference.

Methods : The subjects were 1,157 individuals (635 men, 522 women). The morbidity index for metabolic risk factors was calculated by the sum of the risk factors scores (one point per item, if present). We set the criteria of obesity as BMI≥25 kg/m2, waist circumference of ≥90 cm in males and ≥80 cm in females, waist/hip ratio of ≥0.9 in males and ≥0.8 in females, and waist/height ratio of ≥50 cm/cm*100.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waist/ height ratio, waist/hip ratio, BMI, and waist circumference (P=0.000). The odds ratios for morbidity index (≥3) in normal BMI,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subjects with waist/height over 50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4.60, 3.83, and 2.79, respectively, and also higher in normal BMI with normal waist circumference subjects with 3.90 (P=0.000).

Conclusion : Waist/height ratio may be used a simple and practical index of obesity. Especially, it may be useful in subjects with normal BMI or normal waist circumference when predicting their metabolic risks.
Key Words: waist/height ratio, abdominal obesity, obesity indices
초록
연구배경 : 허리둘레는 심혈관질환의 독립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체질량지수는 WHO기준에 의해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상 체질량지수에서도 대사적 비만상태는 드물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정상 체질량지수, 정상 허리둘레 대상자에서 허리둘레/키 비에 따른 대사성위험인자의 특성과 허리둘레/키 비의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강동성심병원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1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성위험인자에 대한 이환율지수(morbidity index score)는 위험인자가 있을 때 하나당 1점씩 하여 그 합으로 하였다. 비만기준으로는 BMI (≥25 kg/m2), 허리둘레(남: ≥90 cm, 여:≥80 cm), 복부둔부 비(남: ≥ 0.9, 여: ≥0.8), 허리둘레/키 비( ≥50 cm/cm*100)로 하였다.

결과 : 허리둘레/키 비, 허리둘레, 허리/엉덩이 둘레 비, 체질량지수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였다(P=0.000). 정상 체질량지수, 정상 허리둘레, 정상 허리/엉덩이 둘레 비를 갖는 대상에서도 허리둘레/키 비가 50 이상일 경우에 50 미만인 대상에 비해서 대사성 위험인자 이환율지수(MI≥3)에 대한 교차비가 각각 4.60 (2.98∼7.10), 3.83 (2.44∼6.02), 2.79 (1.48∼5.29)였고, 또한 정상 체질량지수이면서 정상 허리둘레를 갖는 대상자에서도 3.90 (2.31∼6.60)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허리둘레/키 비는 비만을 나타내는 측정치로 간단하고 실용적일 수 있다. 특히 정상 체질량지수, 정상 허리둘레, 또는 두 가지 지표가 모두 정상인 군에서 허리둘레/키 비가 50 이상일 경우 대사성위험을 예측하는 선별검사 도구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심 단어: 허리둘레/키 비, 비만지표, 복부비만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