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8):731-738.
Published online August 10, 2003.
The Comparison of Body Fat Rate and Body Mass Index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e Long Cho, Han Jin Lee, Sang Woo Ou, Jong Seung Kim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2Hanil Hospital, Korea.
3Inje University Ilsan-paik Hospital, Korea.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과의 연관성을 통해서 본 비만조절지표로서 체지방률과 체질량 지수의 임상적 의의 비교
조비룡,이한진,오상우,김종성
1
2
3
Abstract
Background
: Obesity has been generally diagnosed by 'Body Mass Index (BMI)' in primary care. Recently the use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has become popular in Korea to evaluate body fat rate (BFR), as cost is inexpensive and the method to use is simple. As a result, the opposed finding of normal BMI and elevated BFR vice versa in same individuals are being encountered frequently. We designed this study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cardiovascular risk of people in these groups.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health promotion center were obtained and 22,704 applicants visitor who undeerwent health risk questionnaire, screening tests and physical examination for cardiovascular disease were reviewed.

Results : After adjusting for age, sex, exercise and education level, cardiovascular risk such as hypertension, DM, and hypercholesterolemia, LDL tended to increase linearly and HDL tended to decrease linearly with increase of BFR or BMI. In comparison with normal BMI and BFR group, the odds ratios of normal BMI and elevated BFR group or vice versa were increased.

Conclusion : If either one of BMI or BFR of a person was elevated, even though the other was within normal range, the cardiovascular risk of that person was shown to be high.
Key Words: obesity,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ody Mass Index (BMI), Body Fat Rate (BFR),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초록
연구배경 : 일차진료에서는 비만의 진단기준으로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가 가장 많이 이용되지만, 최근 가격의 저하와 사용의 간편성 등으로 생체 전기저항 분석법(BIA; 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을 통한 체지방률(BFR; body fat rate)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임상에서 비만 평가 시 이 두 지표가 상충되는 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흔히 관찰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이러한 경우에서의 임상적인 판단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들과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5년 5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해 방문한 20세 이상의 수진자 22,704명의 2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BMI와 BFR의 상관관계, 각각에 따른 심혈관계 질환과 위험요인의 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단변량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BMI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경향을 보인 것은 심혈관계질환 위험 인자 중 고혈압, 당뇨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이었고 BFR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경향을 보인 것은 고혈압,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이었다. 고밀도지단백은 BMI와 BFR에서 모두 직선적인 감소경향을 보였다. BMI와 BFR를 정상과 비정상만을 기준으로 분류한 네 그룹에서는 BMI와 BFR 모두가 정상인 그룹에 비교하여 BMI나 BFR 중 어느 하나라도 비만에 속하는 나머지 세 그룹에서 심혈관계질환 위험 인자의 의미있는 증가가 있었다.

결론 : BMI와 BFR 측정치로 어느 하나라도 비만에 속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중심 단어: 비만,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