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8):709-714.
Published online August 10, 2003.
The Impact of Urinary Incontinence on the Quality of Life in Women.
Hee Jin Kim, Hong Soo Lee, Sang Hwa Lee, Kyung Won Shim, Heuy Sun Suh, Kyoung Ae Kong, Hae Jung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성인여성의 요실금과 삶의 질
김희진,이홍수,이상화,심경원,서희선,공경애,이해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Urinary incontinenc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lifestyle of sufferers, affecting not only their physical condition but also their well-being. But only few patients visit doctors for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Methods : Among the people who visited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for a health exam or primary care during April 2002, we selected 161 women over 20 years old. We measured their quality of life by the Medical Outcomes Study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questionnaire. Excel 200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active incontinence group, who experienced urinary incontinence within 1 year, were 48 women and the normal group without urinary incontinence at all were 65 women. The average SF-36 score was 76.5 in total women, 69.0 in active incontinence group, and 81.5 in normal group. The percentage of those seeking treatment was 10.4% and 64.6% of women have never sought hel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ontinent patient had a much lower quality of life than normal women, but there were only few patients who sought treatment.
Key Words: urinary incontinence, quality of life
초록
연구배경 : 요실금은 적절한 치료로 호전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은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여러 질병에서 삶의 질 연구가 확대되고 요실금에 따른 사회적, 정신적 영향이 문제가 됨에 따라 요실금에 대한 삶의 질 연구도 증가하였으나, 국내에서는 이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요실금 여성의 삶의 질을 측정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 한 달 동안 서울 시내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와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20세 이상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 및 요실금의 양상을 묻는 설문지와 The Medical Outcomes Study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를 시행하였고, Excel 2000의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 평균 연령은 42.5세였고, 최근 1년 내 요실금 증상을 경험한 현증 요실금은 48명, 한 번도 요실금을 경험해보지 않은 정상군은 65명이었다. SF-36 점수의 전체 평균은 100점을 만점으로 할 때 76.5점이었다. 현증 요실금군에서의 평균은 69.0점이었고, 정상군에서의 평균은 81.5점으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요실금의 유병기간은 평균 4.0년이었고, 의사에게 도움을 청한 경우는 10.4%, 아무에게도 의논한 적이 없는 경우가 64.6%였다. 소변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한다' 20.8%, '불만족스럽다' 54.2%, '절망적이다' 15.6%였다.

결론 : 환자들은 정상군에 비해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혼자 고민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를 받는 경우는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일차진료 의사들은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라도 적극적인 병력 청취를 통해 문제를 발견하여 치료를 위한 길을 열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겠다.
중심 단어: 요실금, 삶의 질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