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6):532-540.
Published online June 10, 2003.
Parent-offspring Relationship and Familial Aggregation of Obesity-Related Phenotype and Nutrition Intake in Adolescents Family in Urban Area.
Hye Soon Park, Kyeong Sook Yim, Sung Il Cho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Korea.
2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University of Suwon, Korea.
3Division of Epidemiology,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도시 지역 청소년 가족에서 비만 지수 및 영양 섭취에 대한 부모-자녀간 관련성 및 가족내 군집성
박혜순,임경숙,조성일
1
2
3
Abstract
Background
: Adolescent obesity has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in South Korea due to westernized life style. Fami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affect body weight in childre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chs poorly understood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ent-offspring relationship and familial aggregation of obesity-related phenotypes and nutrient intake in Korean adolescent families.

Methods : A cross-sectional observation study was conducted in 134 biologic families including adolescents aged 11∼19 years, parents, and sibling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waist & hip circumference, waist-to-hip ratio (WHR), and % body fat by BIA were measured. The nutrient intake was assess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Intraclass correlations for each variable between family members were calculated after adjustments to correct for the effect of age and sex.

Results : The risks for obesity in offsprings increased according to parental obesity. Mothers rather than fathers, and daughters rather than sons had higher significant intrafamilial correlations for almost all of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nutrient intake. For height, fathers had higher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ffspring. However, for total fatness and fat distribution, mothers had higher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ffspring.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nutrition intake existed between the spouses and all offsprings.

Conclusion : Korean adolescents exhibited significant parent-offspring relationship and familial aggregation for obesity-related phenotypes and nutrient intake. Understanding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shared genes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the familial relationship and aggregation could give insights into the origins of adolescence obesity in the high risk group of family.
Key Words: obesity, familial aggregation, relationship, adolescence
초록
연구배경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경제 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청소년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의 발생은 인종 및 민족적, 문화적 차이에 따라 다른 바, 유전적·환경적 요인들이 공존하여 유발되며 가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에 청소년 가족 연구를 통해 청소년에서 비만 지수 및 영양 섭취에 대해 부모-자녀간의 관련성 및 가족내 군집성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서울 및 서울 근교에서 이 연구에 자발적 참여를 원하는 청소년 가족 134가족을 모집하였다. 생물학적 혈연 관계가 아닌 경우는 제외하여 총 491명이 포함되었다. 신체 계측으로 신장,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를 측정하였고, 영양 섭취 양상은 식품섭취빈도조사법를 통해 알아보았다. 비만 지수 및 영양 섭취에 대해 부모-자녀간의 관련성 및 가족내 군집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자녀의 비만은 양 부모 모두 비만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한쪽 부모만 비만한 경우 교차비 1.7∼3.0, 양 부모 모두 비만한 경우 교차비 5.2∼13.7로 비만해질 위험이 높았다. 2) 비만도 및 지방 분포는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와 자녀들 사이에, 아들보다는 딸과 부모들 사이에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부간에는 신장 및 체중에, 자녀들끼리도 대부분의 신체 계측에서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다. 3) 영양 섭취도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와 자녀들 사이에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부간 및 자녀들끼리도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다. 에너지 소비는 어머니와 딸 사이에서만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 청소년 가족에서 부모가 비만할수록 자녀가 비만해질 위험이 높았다. 비만 지수 및 영양 섭취에 대해 가족내 군집성이 존재함은 가족의 영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청소년에서 가족적 접근을 통한 비만 예방이 중요하며 고위험군에서는 조기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중심 단어: 비만, 영양 섭취, 가족내 군집성, 관련성, 청소년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966 View
  • 16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