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4):360-364.
Published online April 10, 2003.
The Correlation between Plasma Leptin Concentration and Adiposity in Obesity.
Mi Jung Kim, Youn Seon Choi, Jeong A Kim, Sun Mi Kim, Kyung Hwan Cho, Myung Ho Hong, Yoon Kyoo Kang, Woo Sub Kim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Korea. younseon@korea.ac.kr
2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Korea.
여성 비만인의 혈중 렙틴 농도와 체지방량과의 상관관계
김미정,최윤선,김정아,김선미,조경환,홍명호,강윤규,김우섭
1
2
Abstract
Background
: Obesity can be considered as hyperaccumulation of body fat. Therefore, the aim to treat obesity is to decrease body fat. Abdominal total fat calculated in computed tomography is thought to be the most accurate index measuring body fat. The body mass index (BMI) and body fat mass are the representative indices also. Leptin is a protein hormone expressed by obesity gene in adipose tissue. It inhibits food intake and increases energy consumption, thereby controls obesity. With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lasma leptin level and body mass index and abdominal total fat area, we tried to find the usefulness of leptin as an index of adiposity.

Methods : The adiposity level was approximated by BMI, computed tomography and bioelectical impedence.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body composition, body fat distribution was determined by computed tomograph. To qua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ptin level and adiposity, correlation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Results : The subjects were 32 females with a BMI of over 25 kg/m2. The mean plasma leptin level was 14.2±5.9 ug/L.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plasma leptin level with subcutaneous and visceral fat. The plasma leptin leve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MI and body fat mass, an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ctaneous fat (P<0.01), but not with abdominal visceral fat.

Conclusion :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lasma leptin level and body fat mass was observed. The distribution of subcutaneous fat showed differences in plasma leptin level. Therefore, the plasma leptin level may be used as an index of change of body fat mass, especially subcutaneous fat.
Key Words: leptin, adiposity, abdominal total fat area, body mass index, abdominal subcutaneous fat, abdominal viseral fat
초록
연구배경 : 비만의 개념은 체지방량의 증가를 나타낸다. 비만 치료의 목표는 체지방량의 감소에 있다. 체지방량을 추정하는 지표 중 컴퓨터 단층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복부지방총량이 가장 정확하며, 이 외에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체지방량(body fat mass) 등이 있다.

렙틴은 비만유전자(ob gene)의 발현에 의해 지방조직에서 생성되는 단백 호르몬으로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음식 섭취를 억제시키며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비만을 조절한다. 렙틴의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체지방량, 성호르몬, 인슐린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 중 최근 여러 연구들에 의하여 렙틴이 체지방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또한 피하지방에서 내장지방에 비해 렙틴 mRNA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됨에 따라 체지방 분포가 혈중 렙틴 농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혈중 렙틴 농도와 체질량 지수, 복부지방 총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렙틴이 체지방량을 대표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복부 피하지방, 복부 내장지방과 혈중 렙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체지방 분포의 차이에 따른 혈중 렙틴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4월 초에서 6월 말 사이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비만 클리닉을 방문한 사람 중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인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혈액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 생체 전기 저항 분석법을 이용하여 체지량지수, 혈중 렙틴 농도, 복부지방총량, 내장지방량, 피하지방량, 체지방량을 구하였다. 혈중 렙틴과 체지방량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로 나타내었다.

결과 : 혈중 렙틴 농도는 평균은 14.2±5.9 ug/L,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복부 총지방면적은 평균 396.5±87.3 cm2, 복부 피하지방은 평균 285.8±72.9 cm2, 복부 내장지방은 평균 109.6±38.0 cm2, 정밀 체성분 분석기로 측정한 체지방량은 평균 26.2±5.9 kg, 체질량지수는 평균 28.9±2.9 kg/m2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혈중 렙틴 농도와 체질량지수(r=0.49), 체지방량(r=0.46), 복부 총지방량(r=0.54)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혈중 렙틴 농도는 피하 지방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내장 지방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 혈중 렙틴의 농도와 체지방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체지방량의 분포에 따라 혈중 렙틴 농도와의 상관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혈중 렙틴은 체지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피하지방량의 변화를 대표한다 하겠다.

중심 단어: 렙틴,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복부 지방총량, 복부 피하지방량, 복부 내장지방량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