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Functional Status in the Korean Elderly: An Analysis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
Seung Hee Cho, Byung Ki Kwon, Sun Nyu Lee, Joon Yeong Choi, Yong Kyung Shin, Sun Ha Jee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Incheon, Korea. ykshin@ghil.com 2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Korea. |
한국 노인의 비만과 신체적 기능 제한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Functional Status in the Korean Elderly An Analysis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
조승희,권병기,이선녀,최준영,신용경,지선하 |
1 2 |
|
|
초록 |
연구배경 : 고령과 비만은 대사증후군의 두 양성 예측인자이며, 노인 인구에서 이환율과 장애정도를 결정짓는 주요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의 기능제한 실태와 비만군에서의 기능 제한, 비만과 관련된 질환의 유병률 및 비만 관련 질환의 동반 유무가 기능제한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한국 노인에게 있어 기능제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국민건강 영양 조사를 받은 65세 이상 노인 대상자 중 920명을 선택하였다.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모았고, 신체 계측 및 각 검사 결과는 건강검진 센터에서 시행하였다. 사회 인구학적 변수 및 비만 지표들, 비만 관련 질환의 이환율, 기능적 상태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단면 조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920명의 대상자 중 91%는 기능적 제한이 없었고, 열명 중 한명에서 저체중을, 네 명 중 한 명에서 과체중 이상을 보였다. 주요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제한의 총유병률은 저체중군에서 열 명 중 한 명으로, 과체중 이상군에서는 두 명 중 한 명으로 나타났다. 다변수 회귀분석 결과 기초적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 능력 제한의 유의한 예측인자로 청력 저하가 29.9배, 시력 저하가 14.7배, 비만 관련 질환 중 뇌졸중이 15.5배, 무직 상태가 13.5배, 우울한 군이 4.6배 높은 위험률을 보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비만 관련 질환 중 3가지 이상이 동반될 경우 기능 장애의 위험도가 5.4배, 비만한 여자 노인군에서 7.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과체중 이상군에서 기능적 제한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비만한 한국 여성 노인에게서 기초적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기능 제한의 위험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
중심 단어:
비만, 기능적 제한, 단면 조사 연구, 동반 질환의 유병, 노인, obesity, functional status, cross-sectional study, comorbidity, elderl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