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2;23(3):313-324.
Published online March 1, 2002.
The short-term effect of a comprehensive smoke-free policy on hospital employees.
Mi Ran Jo, Seong Wo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Korea.
병원 직원 대상의 포괄적 금연방침의 단기 효과
조미란, 김성원
인제의대 상계백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Because passive smoking causes lung cancer,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in nonsmokers, implementation of policy to prevent workplac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are strongly needed. Most of our hospital employees desire more strict smoke-free policy as shown in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in January 1999.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hort-term effect of a comprehensive smoke-free policy on hospital employees which prohibited any smoking within the hospital building since March 15, 1999.

Methods : The first survey was carried out on January 1999 including all the employees of Sanggye Paik Hospital as subjects. After two months a second round of survey was done to monitor the effects of the new regulation. Questions included in the survey wer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moking history, perception and observance of no-smoking areas, and change in perception of ETS. Smokers were questioned about changes in smoking rate after the new policy.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x² and paired t-test to detect if there was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enforcing the new smoke-free policy.

Results : Among total 1,026 employees, 621 subjects (men 146, women 475) in the first survey and 552 subjects (men 146, women 406) in the second survey respond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 mix between the two surveys. Although the perception and observance of no-smoking areas were increased after the new policy. half of nonsmokers replied that the new policy was not well observed. 76.9% of subjects replied the exposure to cigarette smoke during work decreased. The question item asking the smokers of the amount of cigarettes smoked after the new policy adoption revealed a decrease in 2.83(±0.48) cigarettes during the working hours (p=0.0001), a decrease in 1.18(±0.29) cigarettes during the premises of hospital or more stringent regulation for violation of the policy.

Conclusion : Despite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mprehensive smoke-free policy in hospital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eduction of smoker's cigarettes consumption as well as reduction of ETS exposure on the nonsmokers.
초록
연구배경 : 간접흡연은 비흡연자에게 폐암, 허혈성, 심장질환, 뇌졸중 등의 건강상의 피해를 입힐 수 있어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직장 내 금연방침이 필요하다. 1999년 1월에 시행된 본 병원 직원 대상의 설문조사에서 더욱 강력한 금연방침을 원하는 직원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본 병원에서는 1999년 3월 15일부터 병원 건물 내에서는 절대 흡연할 수 없도록 하는 포괄적 금연방침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새 방침의 시행 2개월 후의 단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 새 금연방침 시행 2개월 후에 전 직원을 대상으로 새 방침의 효과를 무기명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시하고(2차 설문), 시행 2개월 전의 설문조사(1차 설문)와 비교하였다. 설문에는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흡연력, 금연구역의 인지도 및 준수도, 새 방침의 시행 후의 간접흡연의 변화 및 새 방침에 대한 태도 등을 포함하였고, 흡연자에게는 시행 전후에 근무 및 근무 외 시간의 흡연량의 변화를 추가로 질문하였다. 통계분석은 x², paired t-test 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 총 1,026명의 직원 중 1차 설문에는 621명(남자 146, 여자 475명), 2차 설문에는 552명 (남자 146명, 여자 406명)이 응답하였다. 1,2차 설문 응답자의 성별, 인구학적, 직종별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금연구역의 인지도 및 준수도는 시행 전보다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새 금연방침이 잘 지져진다고 보는 비흡연자들은 아직도 반수에 지나지 않았다.(41.5%에서 52.9%로 증가, p=0.001). 새 방침 시행 후에 근무 중 나는 담배 냄새가 감소했다는 응답이 전체의 76.8%나 되었다. 흡연 직원 중 새 방침 시행 후에 ‘금연해다’가 4.3%,‘ 흡연량을 줄였다’가 65.7%이었으며, 일일 근무 시간의 흡연량은 시행 전보다 평균 2.83(±0.48)개비(p=0.001), 근무 외 시간에는 평균 1.18(±0.29)개비 (p=0.002), 휴일에는 1일 2.00(±0.50)개비가 감소하였다(p=0.002) 하지만, 비흡연자의 84.0%는 지금도 벌칙을 더욱 강화하거나 옥상이나 병원 앞의 흡연구역도 완전히 없앨 것에 찬성하였다.

결론 :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를 통해 병원 건물 내에서 흡연을 완전히 금지한 새로운 포괄적 금연방침이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감소와 함께 흡연자의 흡연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39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 in KJFM

The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abdominal fatness.2000 September;21(9)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