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2;23(1):68-79.
Published online January 1, 2002.
Parental perception on childhood obesity according to weight status in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Eun Ryoung Kwon, Ha Jung Choi, Sang Ro Lee, Eun Sook Paik, Ka Young Lee, Tae Jean Par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je University Medical School, Korea.
부산 일부 초등학생에서 체중군에 따른 부모의 소아비만에 대한 인식도
권은령, 최하정, 이상로, 백은숙, 이가영, 박태진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It has been found that parental role is essential for obesity management in childhoo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concerning parental on childhood obesity in Korea. Parental perception on childhood obesity according to weight statu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examined.

Methods : The subjects were 3,996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Busan. The surveys which include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children's eating habits and activities, parental weight and height, parental perception on childhood obesity, were filled out by parents. Children's body mass index(BMI) were calculated using the height and weight measured in school.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the obese group (BMI≥95 percentile), the high risk group (85 percentile≤BMI<95 percentile) and the normal weight group (<85 percentile) according to BMI gender and age. The analyses were done using x²-test and ANOVA.

Results : Parental BMI in the obese group was higher than the normal weight group in boys and girls (P<0.001). Participation in regular exercise was higher among the obese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regardless of sex, but daily exercise time was lesser among the obese group only in boys (P<0.001). Daily TV watching tim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weight status in both sex. The parents with obese children perceived their children's weight as an appearance problem or a health problem about 7-18 times more likely than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normal weight. 70% of obese children have tried weight control. The proportion of parental understanding on childhood obesity as a disease was not different among boys, but different among girls (P<0.001). Eighty five percents of the parents perceived childhood obesity as a disease or a risk factor. But, their perception for the association of hypertension, fatty liver, sleep apnea syndrome with obesity was relatively low.

Conclusion : Most parents with obese children perceived childhood obesity as an appearance problem, a health problem and as a disease or a risk factor.
초록
연구배경 : 소아 비만의 관리를 위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 학부모들의 소아비만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적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초등학생들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소아의 체중 상태에 따른 소아비만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 부산 시내 5개 초등학교 학생 3,996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변수, 자녀의 식이 습관 및 활동정도, 부모의 체중과 키, 소아비만에 대한 부모의 인식 정도를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학교 신체검진에서 측정된 키와 몸무게로 체질량지수를 구하여 성별에 따라 비만군(성별, 연령별 95백분위수 이상), 고위험군(85-95 백분위수), 정상 체중군(85 백분위수 미만)으로 구분하였다. 체중군에 따라 조사된 변수들을 비교하기 위하여 x²-test,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부모의 체질량지수는 남녀 모두에서, 비만군에서 정상 체중군보다 높았다(p<0.001). 남녀 모두에서, 비만군에서 규칙적 운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운동시간은 남아의 경우 정상 체중군보다 적었으며(p<0.001) 여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TV 시청 시간은 남녀 모두에서 체중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남녀 모두에서 비만한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체중상태가 외모 및 건강상에 큰 문제가 된다고 인지하는 비율이 약 7-18배 높았으며 체중 조절을 시도한 경우가 약 70%였다. 부모가 소아비만을 질병으로 인지하는 비율은 남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아에서는 체중군별로 차이가 있었다(p<0.001). 부모의 85% 이상에서 비만을 질병이나 위험요인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나, 고혈압, 지방간, 수면 무호흡증과 비만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도는 낮았다.

결론 : 비만한 자녀를 둔 대부분의 부모들은 소아 비만을 외모상, 건강상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질병 내지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